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왼쪽 넷째)가 31일 도쿄 지요다구 학사회관에서 열린 ‘고노 담화의 유지 발전을 촉구하는 학자 공동성명’ 발표회장에 참석해 “일본은 한국이 요구하는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성의 있는 조처에 응해야 한다”는 내용의 발언을 하고 있다.
와다 하루키 등 담화계승 촉구 성명
“일, 위안부 문제 추가조처 내놔야”
NHK 등 일 언론 무관심 질책도
“일, 위안부 문제 추가조처 내놔야”
NHK 등 일 언론 무관심 질책도
“혹시 <엔에이치케이>(NHK)에선 오셨나요?”
31일 일본 도쿄 지요다구 학사회관에서 열린 ‘고노 담화의 유지 발전을 촉구하는 학자 공동성명’ 발표회장에 출석한 우에노 지즈코 ‘여성행동 네트워크’ 이사장이 취재진을 향해 물었다. 대답이 없자 우에노 이사장은 “위안부 문제가 일본 국민들에게 잘 알려지지 못하고 있는 데엔 이런 언론 환경에도 큰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그의 말대로 이날 발표회장을 찾은 방송사는 <한국방송> 등 한국의 3대 방송뿐이었고, 신문 쪽에서도 <아사하신문>, 일본공산당 기관지 <아카하타>(적기), 대표적인 진보 주간지 <주간 금요일> 정도만 눈에 띄었다.
이날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 하야시 히로후미 간토가쿠인대 교수, 나카노 도시오 도쿄외국어대 교수 등 일본의 진보적인 학자·연구자들은 일본군 위안부 동원 과정의 강제성과 군의 개입을 인정한 고노 담화를 유지·발전시켜야 한다는 내용을 뼈대로 한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고노 담화는 위안부 문제가 일본군의 관여 아래 다수 여성의 명예와 존엄을 깊이 손상시켰음을 인정하고, 이같은 과오를 다시 번복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지금까지 20여년에 걸쳐 계승돼 왔다”며 “고노 담화의 정신을 구체화해 고령이 된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을 회복하는 것은 한국과 중국은 물론 주변 여러 나라들과 관계를 유지·발전시키는데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모임을 주도한 고하마 마사코 니혼대학 교수는 “공동성명을 위한 호소를 시작한 당일 500명의 찬동인이 모이는 등 31일 오전까지 1617명의 학자와 연구자들이 참여 의사를 밝혔다”며 “많은 이들이 이 문제에 관심을 갖고 지금의 사태를 우려하는 증거”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날 기자회견에서 보듯 지식인들의 우려가 일본 일반 국민들과 연결되진 못하는 분위기였다. 와다 명예교수는 “1995년 아시아 여성기금이 한국 국민들에게 받아들여지지 못한 충격이 일본인들에겐 큰 충격으로 다가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식은 것 같다”며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새로운 추가 조처를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쿄/글·사진 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