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루트네프 부총리 4월 방북때 제안
천연가스 라인·종단철도 등 협의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견제 뜻도
천연가스 라인·종단철도 등 협의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견제 뜻도
유리 트루트네프 러시아 부총리가 지난 4월말 북한을 방문해 러시아 극동 지역 개발을 위한 남·북·러시아 3국 경제협력을 제안했다. 러시아의 제안은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견제하려는 측면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6일 트루트네프 부총리가 지난달 28일에서 30일까지 2박3일 동안의 북한 방문에서 “북·러에 한국을 포함한 3개국 사이의 경제협력을 시도했다. 이는 러시아의 오랜 숙제인 극동 지역의 경제발전은 물론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추진하고 있는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견제하려는 의도”라고 보도했다. 트루트네프 부총리는 2012년 12월 김정은 체제가 들어선 뒤 북한을 찾은 최고위급 러시아 인사로 극동연방관구 대통령 전권대표 역할도 맡고 있다. 그는 지난해 11월 한국도 방문해 현오석 기획재정부 장관과 양국 경제협력과 극동 개발 협력에 대해 의견을 나눈 바 있다.
러시아 <이타르타스> 통신은 투르트네프 부총리가 “북한을 경유해 러시아와 한국을 잇는 천연가스 파이프라인과 한반도 종단철도의 건설, 북한 지역의 광산 개발에 러시아 기업들의 참여 등의 내용을 협의했다”고 전했다. 또 3개국이 참여해 공동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국제회의를 모스크바나 극동 지역에서 열자는 제안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통신은 “북한이 관심을 표명했으며 트루트네프가 조만한 한국의 의향을 확인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전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달 28일 “(북-러) 쌍방은 두 나라 사이의 경제협조 관계를 더욱 발전시킬 호상 관심사 문제들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의 계획대로 사업이 진행될지는 미지수다. 북한의 4차 핵실험 관련 움직임으로 남북 관계가 최악의 상황에 놓여 있는데다, 한국도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를 제재하려는 국제 사회의 움직임에 동참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