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조사 실시땐 반드시 성과
지난달 양국간 협의 때 강조”
니혼게이자이신문 보도
일 여론 녹일 카드 준비한 듯
지난달 양국간 협의 때 강조”
니혼게이자이신문 보도
일 여론 녹일 카드 준비한 듯
북한은 납치자 문제에서 일본을 만족시킬 ‘카드’를 쥐고 있는 것일까?
북한이 지난달 말 진행한 북-일 정부간 협의에서 일본인 생존자 관련 정보를 확보하고 있음을 내비치는 발언을 했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31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북한이 5월26~28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양국간 국장급 협의 석상에서 일본에 “재조사를 실시하면 반드시 성과가 나온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일본 당국자는 이 발언을 “생존자 정보를 시사하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북한에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생존자 명단 등을 요구했다. 그러나 북한은 이에 응하지는 않은 채 ‘북한 내의 구체적 지명’ 등을 언급하며 (생존) 일본인의 존재를 내비쳤다는 것이다.
이런 정황은 북한이 납치자 문제와 관련해 냉랭한 일본 여론을 누그러뜨릴 수 있는 카드를 준비한 뒤 협상에 나섰다는 추정을 가능케 한다. 북한의 카드란 지난 29일 합의문에도 언급됐듯 ‘생존자가 발견되는 경우 귀국’시키는 것과 같은 극적인 이벤트일 수 있다.
이번 합의를 이끈 북한의 책임자가 김정은 조선노동당 제1비서와 의사소통이 가능한 핵심 측근이라는 정보도 이런 예측에 신빙성을 더한다. <아사히신문>은 31일 “이번 합의를 이끈 북쪽 인사가 2011년 일본 외무성에 접근하며 (2002년 9월 평양선언을 이끌어낸) 류경 전 국가안전보위부 부부장(2011년 처형)의 후계자임을 자칭했다”고 보도했다. 류 전 부부장은 후나바시 요이치 전 아사히신문 주필의 북핵 관련 저서 <더 페닌슐라 퀘스천>에 ‘미스터 엑스(X)’라는 별명으로 등장해 고이즈미 총리의 평양 방문을 실현시킨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최측근이다. 일본에선 이를 토대로 북한이 합의문에서 언급한 특별조사위원회의 ‘특별한 권한’을 “김정은 제1비서의 지시에 따라 북한의 어떤 조직도 조사할 수 있는 권한”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1일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에서 필요하면 외무성·경찰청의 조사단을 현지에 파견해 조사의 실효성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북-일 무역 규모는 2002년 460억엔(약 4600억원)에 이르렀지만 2006년 141억여엔으로 줄어든 뒤 지금은 사실상 끊긴 상태다. 북한이 위원회를 발족하는 시점에 시행되는 인적 교류 등 1차 경제제재 해제의 효과를 두고서는 의견이 갈리지만, 북-일 협상이 원만히 이뤄져 만경봉92호의 입항 등이 재개된다면 고립된 북한 경제에 숨통을 틔워주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