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집에 영문판 올린 데 이어
자민당 총재 특별보좌관
“일 입장 알리는 도구로 활용”
일각선 “고노 국회증언 시켜야”
자민당 총재 특별보좌관
“일 입장 알리는 도구로 활용”
일각선 “고노 국회증언 시켜야”
일본 정부가 ‘고노 담화’(1993년) 검증 보고서를 활용해 국제사회를 상대로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여론전에 나설 태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 외무성은 20일 오후 고노 담화 검증 보고서를 발표한 직후 이 문서의 일본어판과 영문판을 나란히 누리집에 올렸다. 이 보고서의 내용을 적극적으로 국외에 알려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한국과의 국제 여론전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려는 의지가 드러난다. 일본 외무성 누리집에는 그밖에 일본이 세계에 적극적으로 홍보하려 하는 독도와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등 영토 문제도 일목요연하게 정리돼 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측근도 이번 보고서를 국제 여론전에 활용하겠다는 구상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하기우다 고이치 자민당 총재 특별보좌관은 22일 <후지테레비>의 한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해 보고서를 보고 “(한국에 대한) 일본의 선의가 제대로 살려지지 못했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었다. 위안부상을 만들려는 움직임에 대해 일본의 입장을 알리는 도구로 (검증 보고서의) 영문본을 활용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동안 <산케이신문> 등 일본 우익들은 주미 한인사회의 노력으로 미국 곳곳에 확산되어가는 위안부 소녀상을 막기 위해 일본이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러나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등 세계 여론은 위안부 제도는 “엄청나게 악한, 나쁜 인권 침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어 일본의 시도가 성공할지는 미지수다.
한편, 일본 국내에서는 담화를 직접 발표했던 고노 요헤이 전 관방장관을 국회에 불러 증언을 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하기우다 보좌관은 “(고노 전 장관이) 최근 잡지(일본 진보의 상징인 이와나미 서점의 <세카이>)에 자주 투고하거나 특정 언론을 통해 발언하고 있다. 발언을 하고 싶은 마음이라면 꼭 국회에 나와 설명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번 검증 보고서는 고노 전 장관이 1993년 8월4일 담화를 발표한 뒤 기자회견에서 위안부의 강제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인정하는 답변을 한 사실을 비판적으로 다루고 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