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문제 매개 일 압박 강화” 분석
NHK “중, 한국 중시해 고립 탈출”
NHK “중, 한국 중시해 고립 탈출”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의 한-중 정상회담에 대해 3일 일본 언론은 양국 정상이 역사 문제를 매개로 삼아 ‘반일 연대’를 공고화할 가능성에 경계감을 표시했다.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은 “중국 국가주석이 취임 후 전통적 우방국인 북한보다 먼저 한국을 방문하는 것은 처음이다. 여러 나라를 순방하는 게 아니라 한 국가만을 공식 방문하는 것도 이례적인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방송은 “시 주석이 영토 문제 등을 둘러싸고 일본 등 주변국들과 대립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을 중시하는 자세를 보여 이 지역에서의 고립을 피하려 하고 있다”며 “양국 정상이 북핵 문제뿐 아니라 일본의 역사인식에 어떤 자세를 보일지 주목된다”고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도 “한국이 애초 한·미·일의 결속을 중시하는 미국을 배려해 역사 문제를 회담 의제로 삼는 데 신중했지만, 박 대통령이 2일 <중국중앙텔레비전>(CCTV) 인터뷰에서 일본의 고노 담화 검증은 ‘담화의 정신을 파괴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고 주목했다. <아사히신문>은 “박 대통령이 한-중 정상회담에서 고노 담화 검증 등에 대해 일본에 혹독한 자세를 보일 것”이라고 우려했고, <산케이신문>은 “시 주석의 이번 방한을 계기로 한국에선 한-중 관계가 한층 심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그러나 미국을 중심으로 한·미·일 협력 구도 안에서 한-중의 밀월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나왔다. <지지통신>은 “센카쿠열도(댜오위다오)와 역사 문제로 일본과 격렬하게 대립하고 있는 중국은 한국과 ‘대일 공동투쟁’을 하기를 원하고, 한국도 위안부 문제에 대한 고노 담화 재검증 결과에 일본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면서도 “중국과의 공동투쟁은 북한에 대한 한·미·일 협력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어 (한국으로서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