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방장관 회견, 한국에 비판 자제
한-중간 분리 노리려는 듯
언론들도 비슷한 반응
“한, 미국 배려했다” 평가도
한-중간 분리 노리려는 듯
언론들도 비슷한 반응
“한, 미국 배려했다” 평가도
일본 정부는 한-중 양국 정부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을 계기로 역사 문제에 대한 반일 노선을 명확히 하자 강력히 반발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비판의 대상을 중국으로 한정해 한국을 자극하지 않으려 애를 썼고, 언론들도 양국의 접근을 “방관하기만 할 것이냐”(<아사히신문> 5일 사설)며 정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4일 오후 기자회견에서 “중국이 한국과 연계해 과거의 역사를 쓸데없이 꺼내 들어 국제문제화하려는 시도는 이 지역의 평화와 협력의 구축에 도움이 안 된다고”고 지적했다. 그러나 일본에 대한 공격을 주도하는 주어를 한-중 양국이 아닌 중국으로 한정한 점이 눈에 띈다. 한국에 대한 비판을 자제함으로써 한-중간 분리를 노리려는 속셈으로 읽힌다. 일본 언론들도 5~6일 관련 사설 등에서 비슷한 취지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언론이 3일 한-중 정상회담 이후 발표된 공동성명에 일본을 직접적으로 비판하는 내용이 포함되지 않은 점에 대해 “한국이 한-일 관계 개선을 요구하는 미국을 배려했다”고 평가하는 모습이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5일치 ‘중-한 접근에 어떻게 맞서야 하나’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3일) 양국 정상회담 이후 진행된 기자회견과 공동성명에선 일본을 비판하는 내용이 없었다. 한국 내부에도 중국과의 공동보조를 취하는데 신중한 목소리가 있다”며 “지금의 일본에 요구되는 것은 동아시아의 평화와 발전을 촉진하는 전략”이라고 지적했다. <마이니치신문>도 “한-미-일 대 북-중이라는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대립구도가 크게 변하고 있다”며 “중요한 것은 한반도의 안정을 확보해가면서 북핵 문제에 있어 한-미-일과 중국의 공동 목표 실현을 향한 협조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아사히신문>도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한-중 양국 간 경제 협력의 진전이 이뤄진 점도 눈에 띈다”며 “일본은 역사 문제가 정치 문제화되는 것을 끊기 위해서라도 중단된 상태인 한·중·일 정상회의를 복원시킬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보수적 <요미우리신문>은 “한-일 양국이 역사 카드를 쥐고 일본을 상대로 국제사회에서 여론전을 펴는 것은 우려해야할 사태”라며 “박근혜 대통령이 한-미-일 연대의 중요성을 다시 생각해야 할 때”라며 최근 사태의 책임을 한국 정부의 탓으로 돌렸다. 극우 <산케이신문>도 “박 대통령은 (중국의) 해양 진출에 대해 묻긴 했냐” “한국이 중국에 치우쳐 미국, 일본과 거리가 생기는 사태를 피하길 바란다”고 지적하며 한국 정부의 대중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