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 총리 ‘일 적극적 평화주의’ 지지
‘군사협력 강화’ 호주도 지지할듯
‘군사협력 강화’ 호주도 지지할듯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지난 1일 전후 69년 동안 부정해 왔던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하겠다고 밝힌 뒤 뉴질랜드를 방문해 이에 대한 지지를 요청했다. 한-일 간의 ‘역사 갈등’으로 집단적 자위권에 대한 한국의 지지를 얻기 어려워지자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다른 우방국들의 지지를 먼저 요청하고 나선 모양새다.
아베 총리는 7일 오전 존 키 뉴질랜드 총리와 정상회담을 열어, 일본이 행사하기로 한 집단적 자위권에 대해 설명하고 뉴질랜드의 지지를 요청했다. 아베 총리는 정상회담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일본과 뉴질랜드는 기본적인 가치관을 공유하는 파트너다. 집단적 자위권에 대해 앞으로도 주변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들에게 높은 투명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신중이 설명해 갈 예정”이라고 말했다고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이 전했다. 키 총리는 일본의 ‘적극적 평화주의’에 대해 ‘평가한다’는 입장을 밝혔고, 관련 내용을 이후 배부된 공동 언론자료에도 포함시켰다. 두 나라는 그밖에 양국 방위 당국 간의 교류를 늘이고 상호군수지원협정(ACSA) 체결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아베 총리는 8일에는 토니 애벗 오스트레일리아 총리와 만나 정상회담을 할 예정이다. 일본과 오스트레일리아는 모두 미국의 동맹국이자 외교·국방장관 회담(2+2회의)을 개최하고 있는 밀접한 우방국이다. 일본처럼 중국의 부상을 우려의 시선으로 보고 있는 오스트레일리아도 뉴질랜드처럼 아베 정권이 추진중인 집단적 자위권과 적극적 평화주의에 지지 의사를 밝힐 가능성이 높다. 이와 관련해 <요미우리신문>은 아베 총리가 오스트레일리아 방문길에서 양국 군대가 상대방 국가를 방문해 훈련할 때 적용되는 법률적인 지위를 정하는 ‘방문부대지위협정’(VFA) 체결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협정을 체결하는 것은 양국이 앞으로 서로의 영토에서 공동 군사훈련을 빈번히 진행한다는 뜻이 된다. 양국은 2010년엔 상호군수지원협정을 체결한 바 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