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혼게이자이신문 보도
일 정부 납치자 명단과 일부 일치
북 이례적 인정…관계 개선 예상
일 정부 납치자 명단과 일부 일치
북 이례적 인정…관계 개선 예상
북한이 일본에 건넨 것으로 알려진 ‘생존 일본인의 명단’ 가운데 복수의 납치 피해자가 포함돼 있다는 일본 언론의 보도가 나왔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0일 1면 머리기사로 북한이 일본에 제시한 생존 일본인 명단 가운데 일본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2명 이상’의 납치 피해자가 포함된 것으로 밝혀졌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지난 3일에도 베이징에서 진행된 북-일 국장급 회담 때 북한 당국이 두자릿수의 일본인 이름이 담긴 명단을 일본 정부에 제출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당시 “관련 보고를 받은 바 없다”고 부인했지만, <니혼게이자이신문>이 관련 내용을 연달아 보도하면서 북한이 실제 생존 일본인의 명단을 제시했다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신문은 이 명단을 북한 당국이 올 초에 작성했으며, 약 30여명의 일본인 이름, 생년월일, 직업, 가족 구성 등이 기재돼 있다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가 지난 1일 이 자료를 제출 받은 뒤 자체적으로 확보하고 있는 납치 피해자와 납치 가능성이 큰 ‘특정 실종자’ 정보와 대조해 본 결과 약 3분의 2 정도가 일본 쪽의 기록과 일치했다는 것이다. 신문은 또 일본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17명의 납치 피해자 가운데 복수의 인물이 명단에 포함돼 있다고 보도했다. 그동안 납치 피해자 17명에 대해 ‘5명은 이미 일본으로 귀환했고, 8명은 사망했으며, 4명은 입국사실이 없다’는 설명을 고수해온 북한이 이번 협상에서 물러선 것이다.
이 내용이 사실이라면 북한이 납치 문제와 관련해 이미 상당한 조사 성과를 사전에 확보해 둔 뒤 북-일 회담에 임했고, 일본 정부도 이런 사실을 파악한 뒤 북한에 대한 경제제재를 해제했다는 추론이 가능해진다. 북-일 관계 개선이 예상보다 더 빠르게 진전될 수 있는 상황이다.
북한은 8월 말~9월 초께 일본 정부에 ‘특별조사위원회’의 1차 조사 결과를 내놓을 예정이다. 이때 아베 정권이 인정할 만한 눈에 띄는 성과가 나올 경우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방북 가능성은 높아지게 된다.
한편, 스가 관방장관은 10일 오전 정례기자회견에서 이번 보도를 다시 한번 전면 부인했다. 그러나 스가 장관은 이전에도 북-일 간에 비밀 접촉이 있었다는 일본 언론의 보도를 전면 부인했지만, 이들 보도는 결과적으로 사실이었던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