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새로 임명된 일본 집권 자민당의 니카이 도시히로(왼쪽부터) 총무상과 다니가키 사다카즈 간사장, 고무라 마사히코 부총재, 이나다 도모미 정무조사회장이 도쿄의 자민당 본부에서 인사하고 있다. 도쿄/AFP 연합뉴스
아베, 집권 뒤 첫 내각·당인사
다니가키, 총재 출신 ‘온건파’
원전 재가동 등 앞두고 안정 무게
다니가키, 총재 출신 ‘온건파’
원전 재가동 등 앞두고 안정 무게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3일 집권 1년8개월 만에 첫 개각과 주요 당직 인사를 단행했다. 원전 재가동, 소비세 증세, 오키나와 지사 선거 등 첩첩산중의 난제를 앞두고 당의 안정적 운영에 방점을 찍은 인사로 보인다.
아베 총리는 이날 오후 총리관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새 내각과 함께) 앞으로도 경제가 최우선이라는 생각으로 성장전략 실현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발표된 새 내각 명단을 보면, 기존 내각의 주요 각료인 아소 다로 부총리 겸 재무상,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 아마리 아키라 경제재생상, 시모무라 하쿠분 문부과학상 등이 유임됐다. 다카이치 사나에 총무상(전 정무조사회장), 마쓰시마 미도리 법무상, 오부치 유코 경제산업상 등이 새로 입각해 여성 각료가 기존 2명에서 5명으로 늘었다. 일본에서 여성 각료가 5명 이상 임명된 것은 2001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내각 이후 처음이다.
아베 정권이 2기 내각에서 역점을 두는 사업은 ‘지방 활성화’와 지난 7월 각의결정으로 결정한 집단적 자위권 행사에 따른 ‘안보 관련 법제 정비’다. 지방 활성화 업무를 주도할 지방창생상에는 애초 간사장 유임을 강력히 희망했던 ‘자민당의 2인자’ 이시바 시게루 간사장이, 안보 업무를 담당할 방위상 겸 안전보장법제 담당상에는 에토 아키노리 현 중의원 안전보장위원장이 임명됐다.
초미의 관심사였던 자민당 간사장에는 다니가키 사다카즈 법무상이 임명됐다. 이에 대해 일본 언론들은 “총재 경험자에게 간사장을 맡기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라며 놀랍다는 반응이다. 다니가키 신임 간사장은 자민당이 2009년 8월 총선에서 민주당에 정권을 빼앗긴 뒤 3년 동안 자민당 총재를 역임한 바 있다. 그는 야당 시절 소비세 증세와 관련한 민주-자민-공명 3당 합의를 이끌어냈고, 중-일 관계 등 아시아 외교를 중시하는 온건파로 평가된다. <요미우리신문>은 “애초 간사장엔 올해 40살인 오부치 경제산업상의 임명도 검토됐지만 ‘너무 어리다’는 당내 반발이 커 다니가키를 기용해 당 운영에 안정을 꾀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일본 언론들은 이번 인사에 대해 공명당을 포함한 여당 내 결속 강화, 소비세 증세, 중-일 관계 등 주변국 외교 중시 등의 흐름이 읽힌다고 평했다. 하지만 정조회장엔 ‘여성 우익의 기수’인 이나다 도모미 의원이 임명되는 등 우익 색채도 여전하다.
아베 정권의 2차 내각 앞에는 여러 난제가 놓여 있다. 먼저 10월26일로 예정된 후쿠시마현, 11월16일로 다가온 오키나와현 지사 선거다. 이들 선거의 결과는 아베 정권이 추진중인 원전 재가동과 후텐마 미군기지의 헤노코 이전 등 미-일 동맹에 직접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를 넘어서면 현재 8%인 소비세를 내년 10월에 10%로 올리는 문제와, 미국과 줄다리기가 이어지고 있는 환태평양동반자협정(TPP), 중-일, 한-일 관계 회복 등의 난제를 풀어야 한다. 내년 봄엔 아베 정권의 장기집권 여부를 판가름할 통합지방선거도 실시된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