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 약세’로 해외생산 장점 감소
파나소닉도 생산거점 국내로
고용 늘어 경기회복 도움 기대
파나소닉도 생산거점 국내로
고용 늘어 경기회복 도움 기대
값싼 임금을 쫓아 해외로 나갔던 일본 기업들이 엔화 약세를 타고 잇따라 일본 국내로 ‘유턴’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아베노믹스’의 성공을 위해 법인세 인하 등 다양한 유인책을 쏟아내며 이런 흐름을 뒷받침한다는 계획이다. 일본 기업들의 최근 변화는 중국·동남아 등으로 계속 생산기지를 옮겨온 한국 기업들과 대비된다.
일본 최대의 가전기업인 파나소닉은 중국 등 해외에서 생산한 뒤 일본에 역수출해 오던 세탁기·에어컨 등 가전제품을 순차적으로 일본 국내 생산으로 전환하겠다는 방침을 확정했다고 <요미우리신문> 등이 5일 보도했다. 파나소닉은 거의 전량을 중국에서 생산하는 구형 세탁기와 가정용 전자레인지는 시즈오카현 후쿠로이시와 효고현 고베시, 가정용 에어컨은 시가현의 구사쓰시의 공장 등으로 생산 거점을 옮길 예정이다. 파나소닉 가전의 일본 국내 판매량은 5000억엔 정도인데, 이 가운데 40%를 중국 등 해외에서 생산하고 있다.
파나소닉이 이런 결단을 내린 이유는 최근 급속도로 진행된 엔저와 중국·동남아의 임금 상승 등으로 인해 해외 생산의 장점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엔-달러 환율이 1엔 오를 때마다 파나소닉의 연간 이익이 약 18억엔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지금처럼 엔-달러 환율이 120엔대이면 큰 폭의 이익 감소가 불가피하다. 게다가 2000년에 40배 정도 차이가 나던 중-일 간 임금 격차는 2013년엔 6배 정도로 크게 좁혀졌다.
일본 기업들의 국내 유턴이 본격화한 것은 2013년 아베노믹스로 엔-달러 환율이 100엔을 넘어서는 등 엔저가 본격화되면서부터다. 일본 제조업체인 다이킨공업은 이미 2013년 말 가정용 에어컨 25만대의 생산 거점을 중국에서 시가현 구사쓰로 옮겼고, 캐논도 국내 생산 비율을 2013년 40%에서 2015년 50%로 올릴 방침이다. 닛산자동차는 그동안 ‘현지 생산, 현지 소비’ 정책을 꾸준히 추진해 2004년 40%였던 국내 생산 비율이 2013년 20% 아래로 떨어졌지만, 올해엔 엔저의 수혜를 보기 위해 국내 생산을 지난해보다 10만대 늘려 100만대 정도로 유지할 계획이다. 일본정책투자은행 조사를 보면, 지난해 일본 기업들의 해외투자 규모는 전년도에 견줘 1.6% 정도 줄었지만, 국내 투자는 14.7% 늘었다.
일본에선 이런 현상을 크게 반기는 분위기다. 해외로 진출했던 생산 거점이 돌아오면 국내 일자리가 늘고, 이는 아베 신조 정권이 바라는 국내 수요 창출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일본 내각부가 지난해 11월 발표한 자료를 보면, 국내로 생산 거점을 옮길 것이라고 보도가 나온 14개 업체 가운데 이미 8개 회사가 국내로 생산 거점을 이전했다고 밝혔다. <요미우리신문>은 5일 “파나소닉의 국내 복귀가 다른 회사들에도 파급돼 국내 제조업의 공동화 현상을 멈추게 할지 주목된다”고 보도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