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K’, 일본인 인질 살해 관련
시리아 반정부군들 인용해 보도
IS가 테러리스트와 맞교환 대비
시리아 반정부군들 인용해 보도
IS가 테러리스트와 맞교환 대비
이슬람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단체인 이슬람국가(IS)에 의해 살해된 일본 독립 언론인 고토 겐지(47)가 협상이 잘 진행됐다면 목숨을 건질 수도 있었다는 증언이 나왔다.
일본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은 3일 복수의 시리아 반정부군 관계자들을 인용해 “이슬람국가가 지난달 29일 일몰 무렵 고토를 터키와 시리아의 국경 부근까지 이송했었다”고 보도했다. 이슬람국가는 이에 앞서 고토와 이라크 국적의 여성 테러리스트 사지다 리샤위(45)의 교환을 요구하며 “1월29일 일몰까지 터키 국경에서 리샤위와 고토의 목숨을 교환할 준비를 하지 않으면 요르단군 조종사 카사스베가 살해당할 것”이라고 협박한 바 있다. 시리아 반정부군 관계자들은 “고토가 (이슬람국가의 수도 격인) 시리아 락까 주변의 수용시설을 옮겨 다니다 29일 터키 국경에 인접한 지역으로 이송됐었다. 그러나 이후 락까로 되돌아와 맘비지라는 마을의 수용시설로 이송됐다”고 전했다. 요르단 정부가 자국의 공군 조종사인 모아즈 카사스베 중위의 생존 증거를 제시할 것을 요구하며 인질 교환에 응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타헤르 마스리 전 요르단 총리는 요르단 정부가 이 같은 결정을 내린 이유에 대해 “이슬람국가가 일본인의 석방만 고집해 카사스베의 생존 증거를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카사스베의 생존이 확인됐다면 (고토와 카사스베를) 복수의 테러범과 교환하는 합의가 이뤄질 수 있었지만, 요르단 정부가 카사스베의 생존을 확인할 수 없어 이를 이슬람국가의 모략으로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한편,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일본 정부가 이번 비극을 집단적 자위권 행사 등을 위해 5월 이후 추진하는 법률 개정 작업에 활용하려 한다는 지적과 관련해 한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였다. 그는 2일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이번에 추진되는 법 개정안에 일본인 구출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돼 있지만, (이번 인질) 사안과는 직접 관련은 없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그 이유로 자위대 투입과 관련해 “해당국인 시리아의 동의를 얻기가 어렵고, 자위대의 (구출) 작전이 가능할지라는 별도의 큰 문제가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앞서 지난달 25일엔 “이번처럼 해외에서 일본인이 위해에 놓여 있는 상황에서 자위대가 가진 능력을 충분히 살릴 수 없다”며 향후 예정된 법률 개정 과정에서 이번 사례를 활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선 우익인 <산케이신문>마저 부정적 견해를 밝히는 등 여론의 반대가 높았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