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조에 요이치 도쿄도 지사. 도쿄/AFP 연합뉴스
“평창 올림픽 절대 분산개최 없다” 한국 입장과 상반
2020년 하계 올림픽을 치르는 이웃나라 일본은 “평창 올림픽의 분산개최는 절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한국과 달리 이미 ‘경기장 신축 백지화와 기존 경기장 사용’이라는 결단을 이미 내린 상태다. 도쿄도는 농구·배드민턴·요트 등 3종목 경기장의 신축 계획을 백지화해 한국 돈으로 1조8600억원(2000억엔)에 달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구체적인 수치도 제시하고 있다.
도쿄도가 이 같은 방침 전환을 결정한 가장 큰 이유는 전임 이노세 나오키 지사 시절 책정된 경기장의 신축 공사비가 폭증했기 때문이다. 애초 일본은 이번 올림픽 개최를 위해 주경기장은 정부가 1964년 도쿄 올림픽이 치러졌던 도쿄 국립 요요기경기장을 개축(1623억엔)하고, 도쿄도가 1583억엔을 들여 농구·배드민턴·양궁·카누·양궁 등 10개 경기장은 신축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아시아에서 가장 먼저 올림픽을 개최하는 등 체육시설 인프라가 탄탄한 도쿄도에서 신축 경기장 수가 크게 늘어난 것은 도쿄 올림픽 조직위원회가 이번 대회를 도쿄의 중심인 도쿄만 지역에서 ‘콤팩트’하게 치른다는 구상을 밝혔기 때문이다. 애초 조직위의 구상을 보면 전체 31개 경기장 가운데 90.3%인 28개 경기장이 선수촌이 위치하게 되는 주오구 하루미의 반경 8㎞ 안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지난해 2월 취임한 마스조에 지사가 건축비를 재검토해 보니, 건축비는 애초 예상보다 3배나 많은 4584억엔으로 급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결국 마스조에 지사는 ‘콤팩트한 올림픽’이라는 애초 구상을 포기하고 ‘알뜰한 올림픽’을 선택하는 결단을 내린다. 이에 따라 도쿄도는 고토구 유메노시마 공원(한국의 난지도 공원에 해당)에 지으려던 농구장 신축 계획을 포기하고 도쿄 근교의 사이타마현의 기존 시설을 활용하는 쪽으로 방침을 전환했다. 그밖에 하키·양궁·조정·승마 등 신축하는 다른 경기장들도 건축비를 아끼는 쪽으로 계획 변경을 진행하는 중이다. 도쿄도는 이를 통해 전체 공사비를 2500억엔 선에서 방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아사히신문>은 지난달 12일 마스조에 지사의 취임 1년을 평가하는 기사에서 마스조에 지사의 이번 판단에 대해 “도청 내에서 저항이 없진 않았지만, 결국 도민을 위한 결정”이었다는 목소리를 소개했다. 생돈을 퍼부어 일회성 행사에 치중하는 것보다 시민들의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는 게 진짜 시민을 위한 행정이라는 지적인 셈이다. 일본 언론들은 지난해 11월 도쿄를 방문한 존 코츠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부회장 등이 “일부 경기의 오사카 분산 개최”를 제안하기도 했다며, △기존시설 재활용 △분산개최 등이 국제올림픽위원회의 올림픽 개혁의 흐름과도 일치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