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인도네시아로 출국 전 밝혀
중, 22일 아베 연설 본 뒤 결정할듯
중, 22일 아베 연설 본 뒤 결정할듯
일본 정부가 인도네시아에서 열리는 반둥회의 60주년 기념 아시아-아프리카 정상회의에서 중·일 정상회담을 추진할 뜻을 밝혔다. 중국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22일 연설 내용을 봐가면서 결정한다는 태도다.
아베 총리는 21일 오후 아시아-아프리카 회의 참석을 위해 출국하기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아직 아무것도 정해져 있지 않지만, 만약 자연스런 모습으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면 물론 그럴 용의가 있다. 일본과 중국이 전략적 호혜 관계의 기본으로 돌아가 더욱 관계를 개선해가길 바란다”고 밝혔다. 앞서 <요미우리신문>은 복수의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이번 반둥회의를 활용해 “아베 총리가 시진핑 주석과 회담을 실시한다는 방향에서 조정을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 회의에서 중·일 정상회담이 실현된다면 양국 정상은 지난해 11월 베이징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이후 5개월 만에 다시 얼굴을 마주하게 된다. 당시 중·일은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에 대한 이견이 있음을 인식하고, 양국간 전략적 호혜 관계를 발전시킨다는 내용이 포함된 4개 항목에 합의하며 관계 개선을 향한 어려운 첫발을 뗀 바 있다.
그러나 중국이 일본의 뜻대로 정상회담에 응할지는 불투명하다. 중국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아베 총리가 8월에 발표하는 ‘아베 담화’에 담길 역사 인식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기 때문이다. <요미우리신문>은 “회담은 22일 진행한다는 방향으로 현지에서도 조정을 계속할 예정이다. 그러나 중국은 아베 총리가 이날 회의에서 연설하는 내용을 본 뒤 최종 판단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훙레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1일 정례브리핑에서 중·일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서는 “양자 활동의 일정은 현재 협의중인 단계”라고 답해 성사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았다.
아베 정권의 핵심부에서 흘러나오는 얘기를 종합하면, 아베 총리는 이번 연설에서 중국이 희망하는 ‘지난 침략에 대한 사죄와 반성’이라는 표현 대신 ‘지난 대전(大戰)에 대한 반성’이라는 언급에 그칠 전망이다. 이번 연설에서 표현될 아베 총리의 과거사 인식은 다음주 미국 상하 양원 합동연설과 8월 ‘아베 담화’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여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22~23일 열리는 이번 정상회의에는 30여개국 정상이 참여하지만, 한국에선 박근혜 대통령의 중남미 순방과 이완구 국무총리의 사퇴 등이 겹쳐 황우여 부총리가 참석한다. 북한에선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참석할 예정이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