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양원 합동연설 애매한 표현
“우리의 행동이 아시아에 고통”
한국 정부, 강하게 반발…성명
“우리의 행동이 아시아에 고통”
한국 정부, 강하게 반발…성명
29일(현지시각) 식민지배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죄의 내용을 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미 상·하원 합동연설 내용이 공개되면서 향후 한국 정부의 대응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일본이 전후 70년을 맞아 오는 8월 내놓게 될 ‘아베 담화’도 큰 틀에서 이번 연설을 답습할 것으로 예상돼 한-일 관계의 관리와 개선을 모색하고 있는 한국 정부의 시름이 깊어지게 됐다.
이날 연설에서 아베 총리는 그동안 한국 등 주변국들이 관심을 집중해 온 역사인식과 관련해 “전후 일본은 지난 대전에 대한 통절한 반성을 가슴에 새기고 걸음을 걸어왔습니다. 우리의 행동이 아시아 여러 국민들에게 고통을 준 사실로부터 눈을 돌리지 않겠습니다. 이 점에 대한 생각은 역대 총리들과 전혀 다름이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1995년 발표된 무라야마 담화에는 “(일본이) 과거에 국책을 그르쳐” 전쟁을 일으켰고, “식민지 지배와 침략”에 의해 “아시아의 많은 나라들에 큰 손해와 고통을 줬다. 이런 사실을 겸허히 받아들여 통절한 반성과 마음으로부터 사죄”를 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그러나 아베 총리는 ‘식민지배와 침략’은 ‘우리의 행동’이라는 애매한 표현으로, ‘다대한 손해와 고통’은 그냥 ‘고통’이라고 표현했다. 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죄와 반성은 아예 찾을 수 없었다.
한국 정부는 강하게 비판했다. 외교부는 30일 대변인 성명을 통해 “아베 일본 총리의 미 의회 연설은 올바른 역사인식을 통해 주변국들과의 참된 화해와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전환점이 될 수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그러한 인식도, 진정한 사과도 없었다”며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김외현 기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