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지식인들이 한-일 국교정상화 50년을 맞아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책임을 분명히 인정하고, 이 문제를 조속히 해결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 우쓰미 아이코 오사카경제법과대학 특임교수, 다나카 히로시 히토쓰바시대학 명예교수, 강상중 도쿄대 명예교수 등 281명의 일본 지식인들은 8일 도쿄 참의원 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2015년 일-한 역사 문제에 관한 일본 지식인의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에서 일본 지식인들은 “(1993년 일본 정부가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 담화 이후에도 위안부 제도에 대한 새로운 자료가 발굴 공개됐다. 이에 따르면 위안소 설치 운영은 민간업자가 아니라 일본군이 주체가 됐다는 게 분명해졌다. 일본 정부와 일본군의 책임을 인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지금이야말로 한·일 양국 정부가 협력해 하루라도 빨리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지난해 6월 ‘한·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시아 연대회의’가 제시한 해법 등을 참조해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의 분명한 사실관계를 인정하고 배상함으로써 법적 책임을 질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또 오는 8월 아베 총리가 발표할 담화가 “고노 담화, 무라야마 담화, 간 나오토 담화 등 그간 일본 정부의 역사문제 담화의 계승을 확인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현재 우리는 예전엔 생각하지 못했던 일-한 관계의 악화, 헤이트 스피치 등의 병리적 현상 등에 직면해 있다. 그러나 우리는 동요도 후퇴도 없다. 인간적인 일-한 협력의 100년을 연다는 결의를 한번 더 인식하고 우리 일·한 양국 국민은 함께 전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