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상회담은 한국요청 있다면…”
스가 관방 묘한 여운…감정앙금 시사
스가 관방 묘한 여운…감정앙금 시사
한·중 정상이 2일 합의한 10월 말~11월 초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 일정에 대해 일본 정부가 수용 입장을 밝혔다. 3국 정상회의에 맞춰 한·일 정상회담이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일본 정부의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3일 오전 정례 기자회견에서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 소식에 대해 “일본은 일·중·한 정상회의와 관련해 종래부터 조기 개최를 해야 한다고 말해왔다. 그동안 의장국 한국이 중심이 되어 진행하는 구체적인 일정 등에까지 긴밀히 관여하고 있었다. 이런 일련의 결과에 기초해 이번 중·한 정상회담을 계기로 일·중·한 정상회의를 조기에 연다는 메시지가 나왔다고 알고 있다. 구체적인 시기와 장소는 상세히 조정하고 싶다”고 말했다.
관심을 모은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선 묘한 여운을 남겼다. 스가 장관은 한·중·일 정상회의가 열리는 시기에 한·일 정상회담도 추진하겠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저쪽(한국)에서 요청이 있다면 우리는 당연히 주변국들과 여러 문제가 있지만 문제가 있을수록 회담을 해야 한다는 입장을 줄곧 갖고 있었기 때문에 받아들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일본이 적극적으로 나서 한국에 정상회담을 열자고 요청하진 않겠다는 뉘앙스로 해석된다. 하지만, <요미우리신문>은 한·일 양국 정부가 3국 정상회의에 맞춰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첫 한·일 정상회담도 여는 방향으로 조율하고 있다고 이날 보도했다.
일본 정부가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먼저 요청하지는 않겠다’는 태도를 보이는 것은 8월 아베 담화 발표 등으로 여전히 양국 사이에 쌓인 감정의 앙금이 있고, 크게는 위안부 문제가 앞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3년 만에 한·일 정상이 만나게 될 경우 박근혜 대통령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게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조처를 요구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에 대한 아베 정권 내의 합의는 이뤄지지 못한 상태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