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한 일 외무성국장 “보도는 알지만…”
관방장관도 “모르는 일, 일정 조정중”
정부선 “왜 그런말 하는지 모르겠다”
한국쪽 ‘위안부 문제 사죄’ 요구에
일 정부쪽 “총리 사죄 다신 없을것”
정상회담 열려도 ‘빈손 회담’ 될듯
관방장관도 “모르는 일, 일정 조정중”
정부선 “왜 그런말 하는지 모르겠다”
한국쪽 ‘위안부 문제 사죄’ 요구에
일 정부쪽 “총리 사죄 다신 없을것”
정상회담 열려도 ‘빈손 회담’ 될듯
어느 쪽이 거짓말을 하고 있는 걸까?
“한-일 정상회담을 다음달 2일 열자고 일본 쪽에 제의했다”는 청와대의 26일 발표에 대해 한·일 당국의 설명이 정반대로 엇갈리고 있다. 위안부 등 양국간 첨예한 외교 현안에 대한 ‘입장 차이’가 아닌 단순한 ‘사실관계’에 대해 양쪽의 설명이 이렇게 엇갈리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27일 한국을 방문한 이시카네 기미히로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은 이날 오후 이상덕 외교부 동북아국장과 면담을 마친 뒤 일본 기자들과 만나 ‘한국이 정상회담을 11월2일에 열자고 제안했느냐’는 질문에 “그런 일은 없었다. 일정에 대해선 한국과 여러 조정을 하는 단계”라고 말했다. 그는 ‘제안이 없었냐’는 일본 기자들의 거듭된 물음에도 “없었다” “그런 보도는 알지만, 실제 제안은 없었다”고 답했다. 이에 앞서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도 27일 오전 정례 기자회견에서 “그런 보도가 있다는 것에 대해 알지 못한다. 어쨌든 일-한 회담에 대해선 최종 조정 중이다. 일정이 정해지는 것은 늘 (회담이 이뤄지기) 직전이었다”고만 말했다.
한국 외교부는 이와 관련해 스가 관방장관과 이시카네 국장이 왜 그런 식으로 얘기하는지 모르겠다며 당혹스런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일이 양국간 최대 외교 현안인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의견 접근을 이루기는커녕 일정을 정하는 단계에서부터 큰 마찰을 겪고 있는 셈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자신의 지지율 유지에 큰 역할을 해온 ‘대일 외교’의 성패라는 커다란 정치적 리스크를 떠안고 이번 정상회담에 나선 상황이다. 아베 신조 총리가 이번 회담에서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한국이 원하는 수준의 입장 표명을 하지 않는다면 박근혜 정부가 지난 2년8개월 동안 추진해온 대일외교가 결국 실패했음을 대내외에 알리는 꼴이 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한국 정부는 그동안 정상회담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워온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성의 있는 조처’ 대신, 아베 총리에게 ‘사죄 발언’으로 요구사항을 사실상 낮춘 상태다.
그러나 일본은 결론적으로 미국이 희망하는 한-일 군사협력 등을 진전시키기 위해 박 대통령의 체면을 살리는 외교적 배려를 할 가능성이 높다. 아베 총리는 지난 8월14일 발표한 아베 담화(전후 70주년 담화)에서도 “20세기 전시하에 수많은 여성들의 존엄과 명예가 크게 손상된 과거를 우리 가슴에 계속 새기겠다. 그러기에 일본은 이런 여성들의 마음에 늘 다가가는 나라가 되려고 한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한편,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27일 “역사문제에 관한 일본의 반성과 불미스런 과거 단절이 한·중·일 3국 협력의 전제조건”이라고 말했다. 이는 한·중·일 3국 정상회의에서 중국이 역사문제를 거론할 것임을 시사한다.
도쿄·베이징/길윤형 성연철 특파원, 이제훈 기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