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언론들 반응은 ‘미묘한 엇갈림’
일본 내 한국 전문가들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일 한-일 정상회담 이후 기자들과 만나 위안부 문제에 대해 “가능한 한 조기 타결을 목표로 해 협상을 가속하자는 데 일치했다”는 발언에 주목하면서, 기존보다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를 좀더 분명히 담은 진전된 태도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는 이날 <한겨레>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아베 총리가 위안부 문제 해결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보였다. 한국의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등 운동단체들이 좀더 움직여주길 바란다. 앞으론 한국 정부가 단독으로 협상을 하는 것보다 한국의 여러 사회단체들이 구체적인 입장을 밝히고 활발히 토론을 하는 게 좋다. 특히 위안부 할머니들이 직접 나서 납득할 수 있는 안을 밝혀주는 게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무라 간 일본 고베대 교수도 “일본 정부가 ‘문제의 존재’를 인정하고,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지금의 일-한 관계를 생각한다면 꽤 획기적인 일인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이 앞으로 일본에 어떤 제안을 할지에 따라 달린 문제”라며 “그러나 (일본이 할머니들에게 직접) 물리적인 보상까지 하는 것을 생각한다면 연내 해결은 무리”라고 덧붙였다.
일본 언론들의 태도는 미묘하게 갈렸다. <아사히신문>은 총리가 “냉각된 양국관계 개선에 대한 의욕을 보인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고, <요미우리신문>에선 “정부가 구체적인 타결의 내용이나 교섭 기한이 결정된 것은 아니라고 하고 있다. 정부는 위안부 문제는 1965년 한일협정으로 해결됐으니 위안부 문제에 대한 새로운 배상엔 응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라고 전했다.
앞으로 협상의 초점은 일본 정부가 고수하고 있는 ‘한일협정 해결론’이란 형식논리를 유지하면서 할머니들에게 실제적인 피해 배상이 이뤄지도록 묘안을 찾아내는 일이 될 전망이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