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상 언급말고 비용 한국부담 전제
한국 외교당국 향후 대응에 관심
한국 외교당국 향후 대응에 관심
일본 정부가 2차 세계대전 때 희생된 군인·군속들의 유골을 수습하면서, 유족을 찾기 위한 디엔에이(DNA) 검사를 진행하는 대상을 한국인 유족들에게도 확장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한국 외교당국의 향후 대응에 관심이 모아진다.
쓰다 야타로 참의원(민주당)은 지난 18일 참의원 후생노동위원회에서 “지난 대전에서 많은 한반도 출신들이 옛 일본군 병사와 군속으로 각지에서 전사했다. 이 문제를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보상 문제나 위안부 문제와 연계하지 말고, 또 비용을 적절히 한국 쪽이 부담한다는 전제 아래 유골의 디엔에이 감정에 대한 한국 쪽의 요청이 올 경우 일본 정부는 거절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한 답변에서 시오자키 야스히사 후생노동상은 “한국 정부로부터 구체적인 제안이 있으면, 이를 진지하게 받아들여 정부 안에서 적절한 대응을 검토하겠다는 생각이다”고 화답했다. 일본 정부가 한국인 유족들의 디엔에이 감정 요구에 협조할 수 있다는 방침을 명확한 형태로 밝힌 것이다. 이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면 일본 정부가 발굴하는 2차 대전 희생자 유골 가운데 섞여 있는 한국인들의 유골이 70여년 만에 유족들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게 된다.
일본 정부가 정책 변화를 꾀하게 된 근본적인 배경은 일본이 태평양전쟁에서 희생된 이들의 유골을 방치하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그동안 일본 정부는 일본인 희생자에 대해서도 유골 주변에서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소지품 등이 확인될 경우에만 디엔에이를 추출해 유족들과 대조하는 작업을 진행해 왔다. 이 때문에 1999년 이후 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2만8000구의 유골을 수습했지만, 유족이 확인된 것은 11구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난해 5월, 발굴된 유골에서 디엔에이를 추출해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희망하는 유족들과 대조 작업을 벌여 적극적으로 유골을 인도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현재 입법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이희자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회장 등 유족단체 대표들은 지난해 8월과 12월 각각 일본 정부와 의원들을 상대로 검사 대상에 한국인 유족들도 포함해 줄 것을 요청한 바 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