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만기 국채 금리 -0.024%
투자자 정부에 자금 빌려주며 돈내
만기시 60억엔+α 챙겨 ‘남는 장사’
투자자 정부에 자금 빌려주며 돈내
만기시 60억엔+α 챙겨 ‘남는 장사’
지난달 중순 ‘마이너스 금리’ 정책이 실시된 일본에서 진풍경이 벌어졌다. 일본 정부가 거액의 빚을 지고도 이자를 내긴커녕 적잖은 수수료를 챙기게 된 것이다.
일본 언론들은 2일 재무성이 전날 진행한 10년 만기 국채(액면금리 0.1%)에 대한 입찰을 진행한 결과 평균 낙찰 금리가 -0.024%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투자자들이 정부에 돈을 빌려주면서 돈을 내야 한다는 뜻이다. 발행이 확정된 국채는 2조3992억엔이며, 실제 낙찰금액은 이보다 301억엔이 많은 2조4293억엔이다. 만기 때 이자(240억엔)를 원금과 함께 돌려주더라도 60억엔이 남는다. 앞으로 10년 동안 발생할 물가상승을 고려해 보면, 일본 정부는 60억엔+α를 챙기는 남는 장사를 한 셈이다.
일본 금융기관들이 이런 ‘이상한’ 거래에 나선 이유는 둘로 압축된다. 금융기관들이 지난달 일본은행이 단행한 마이너스 금리 정책으로 돈 굴릴 곳을 찾지 못하고 있는데다, 세계 경제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안전 자산인 국채에 대한 선호가 커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마이너스 금리로 국채를 사들인 금융기관들이 반드시 손해를 보는 것은 아니다. 국채에 대한 매수세가 몰려 금리가 더 떨어질 경우(채권 가격이 상승할 경우) 이를 되팔아 차액을 챙길 수 있다. 특히, 일본은행이 추가 금융완화를 추진할 경우 대량의 국채를 매입할 수밖에 없어, 들고 있는 국채를 일본은행에 비싼 값에 넘길 경우 마이너스 금리 아래서도 짭짤한 재미를 볼 수 있다.
<아사히신문>은 “정부가 올해 모두 147조엔의 국채를 발행할 예정인데 전체의 80%를 마이너스 금리로 발행할 전망이다. 이를 통해 얻게 되는 수입이 수천억엔 규모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