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원 외교부 동북아시아국장이 17일 도쿄 일본 외무성 청사에서 이시카네 기미히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과 위안부 문제 합의 이행에 관한 협의를 마친 뒤 기자들에게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도쿄/연합뉴스
도쿄서 후속처리 관련 회의 뒤
정병원 동북아국장 회견서 밝혀
정병원 동북아국장 회견서 밝혀
“(일본이 일괄 거출하는) 10억엔의 용처를 정하는데는 한일 협의가 필요한가?”
“그렇다. 합의에 발표된 대로다.”(정병원 외교부 동북아시아국장)
한국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12·28 합의의 이행을 서두르면서, 일본이 한국 정부가 만드는 재단에 일괄 거출하게 되어 있는 10억엔의 용처에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의향이 100% 반영될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이와 관련해 정병원 동북아시아 국장은 17일 도쿄에서 이시카네 기미히로 일본 아시아대양주 국장과 12·28 합의 후속 처리와 관련된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10억엔으로 12·28) 합의에도 나온 것처럼 한-일 양국 정부가 협력해 할머니들의 명예와 존엄회복, 상처치유 사업을 하게 되어 있다”며 돈의 용처를 정하는데 일본 정부와 ‘협의’가 필요함을 인정했다. 기시다 후미오 외교장관은 지난해 12월28월 기자회견에서 “일본 정부의 예산으로 자금을 일괄 거출하고, 일·한 양국 정부가 협력해 모든 위안부들의 명예와 존엄의 회복 및 마음의 상처 치유를 위한 사업을 행하기로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문제는 돈의 사용처와 관련해 한-일 양국 정부의 의견이 불일치하거나, 양국 정부의 협의 결과를 피해 할머니들이 거부하는 경우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17일 정례브리핑에서 12·28 합의에 따라 일본 정부가 내놓기로 한 10억엔의 사용처와 관련해 “(위안부 피해자 지원) 재단이 설립되면, (12·28) 합의문에 한-일 양국 정부가 협력해서 사업을 실시하도록 돼 있는 점도 고려해 재단에서 결정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조 대변인은 “이달 중, 적어도 몇주 안에 (재단 설립) 준비위원회를 발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일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이제훈 기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