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경제 호전·육아 뒷받침 덕분”
일본의 지난해 출산율이 소폭 증가해 1.46을 기록했다. 최근 일본 경제의 회복세와 여성들의 출산·육아 부담을 줄이려는 일본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로 해석된다.
일본 후생노동성은 23일 2015년 일본의 ‘합계 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는 아기의 수)이 1.46을 기록해 전년보다 0.04 늘었다고 발표했다. 최저치를 기록했던 2005년 1.26에 견주면 0.2나 늘어났다. 지난해 출생자 수도 100만5656명을 기록해 전년보다 2177명 늘었다. 일본 언론들은 “일본의 합계 출산율이 20여년 전인 1990년대 중반 수준으로 회복됐다”며 이번 결과를 크게 환영했다.
일본 후생노동성은 이런 출산율 상승의 원인으로 “2013년부터 이어진 일본 경제의 호전”을 꼽았다. 아베 신조 정부가 적극적으로 시행한 아베노믹스로 일본 경제가 다소의 회복 흐름을 보였고, 이것이 출산율 증가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일본 정부는 인구 감소세를 막기 위해 적극적인 정책을 쏟아내 왔다. 아베 정권도 지난해 말 아베노믹스의 2기 목표 가운데 하나로 합계 출산율을 1.8까지 끌어올리기 위한 출산·육아 대책 등을 내놓은 바 있다. 일본 정부는 여성들이 아기를 낳고도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사회구조를 만들기 위해 ‘재택 근무’ 확대 등 다양한 방안을 고민 중이다.
일본에선 지난 3월 보육원 추첨에서 떨어진 한 아이의 엄마가 “보육원에서 떨어졌다. 일본은 죽어라”는 글을 인터넷에 올려, 보육문제와 관련된 ‘(유치원) 대기아동’이 큰 사회적 이슈로 부각된 바 있다. 이후 아베 총리까지 직접 나서 ‘대기아동 제로(0)’를 구호로 내걸고 긴급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그러나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인구 유지를 위해 필요한 출산율 2.07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경우, 지난해 합계 출산율은 1.24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최하위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