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살해에 음주운전까지
미군 여론악화에 고육책
미군 여론악화에 고육책
잇따르는 미군 관련 사건·사고를 막기 위해 주일 미 해군이 전 병력을 대상으로 ‘금주령’을 내렸다.
조지프 어코인 미 제7함대 사령관(중장)과 매슈 카터 주일 해군 사령관(소장)은 6일 “무책임한 행동이 미-일 동맹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전 해군 장병이 이해하고 있다고 사령관들이 확신할 때까지” 모든 장병의 음주를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적용 대상은 현재 일본에 주둔하고 있는 전 함대와 지상병력을 합친 1만8600명으로, 부대 밖뿐 아니라 막사 내에서의 음주도 금지된다. 어코인 사령관은 “일본과의 중요한 동맹을 위기에 빠뜨리는 옳지 않은 행위는 결코 용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미 7함대 등이 ‘금주령’을 내린 것은 지금처럼 미군 관련 사고가 이어질 경우 후텐마 기지의 헤노코 이전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진행 중인 주일미군 재편 작업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오키나와에선 지난달 미 해병대 출신 군무원이 여성을 살해한 혐의로 체포된 데 이어, 지난 5일에는 미 해군 하사(21)가 만취 상태에서 음주운전을 하다 사고를 내 현장에서 붙들렸다. 이 병사는 “친구 집에서 테킬라를 마셨다”고 오키나와 경찰에 진술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오키나와는 일본 전체 국토 면적의 0.6%지만, 전체 주일미군의 74%가 이곳에 주둔해 있다.
그러나 ‘금주령’ 같은 미봉책으론 미군 관련 범죄를 근절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그동안에도 미군 범죄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외출 금지, 금주령 등 여러 조처를 내놨지만 미군 범죄는 이어지고 있다. <아사히신문>은 “2012년에도 오키나와에서 미군 집단강간 사건이 발생하자 병사들의 야간 음주를 금지한 바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헤노코 이전에 반대하는 정당·기업 등으로 구성된 ‘올(all) 오키나와회의’는 이번 오키나와 여성 살해 사건에 항의하기 위해 19일 나하시 오노야마 공원에서 ‘현민대회’를 열기로 했다. 이번 집회는 1995년 소녀 성폭행 사건에 항의하기 위해 8만5000명의 시민들이 결집한 이후 오키나와에서 열리는 가장 큰 집회가 될 전망이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