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함정 접속수역안 접근 관련
미 국무부 “입장 없다” 한발 빼
일 “미국과 긴밀한 연계” 되풀이
미 국무부 “입장 없다” 한발 빼
일 “미국과 긴밀한 연계” 되풀이
지난 9일 새벽에 이뤄진 중국 해군 함정의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이상 접근 문제에 대해 미-일 당국 간 발언이 미묘한 ‘온도 차’를 보였다.
마크 토너 미 국무부 대변인은 9일(현지시각) 정례 기자회견에서 중국 해군 함정이 이날 새벽 일본이 주장하는 센카쿠 열도의 접속 수역(영토의 24해리 이내) 안으로 접근한 사태에 대한 질문을 받고 “이 문제에 대해 일본과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 그러나 자세한 내용은 일본 정부에 물어보라”고 답했다.
그는 기자들의 후속 질문이 나오자 “우린(미-일) 분명 가까운 파트너이고 동맹이다. 섬의 최종적인 주권에 관한 문제엔 입장을 갖지 않는다. 그러나 우린 섬이 1972년 이후 일본의 시정권 아래 있었음을 인정하고, 그래서 이 지역이 미-일 안보조약의 범위 안에 들어간다고 믿는다”고 답했다. 이는 센카쿠 열도가 일본 영토라는 것을 확인한 것이기는 하나, 기존 입장을 반복하는 수준에서 더 나아가진 않았다. 또 미국이 추가로 취할 조처가 있느냐는 질문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잘라 말했다.
이에 비해 일본 정부는 “미국과의 긴밀한 연계”를 되풀이 강조하며, 이번 사안을 미-일 동맹의 관점에서 다뤄가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10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이날 토너 부대변인의 발언에 대해 “미국의 발언은 (센카쿠가 미-일 안보조약의 적용 범위에 포함된다는) 지금까지 입장을 일관되게 확인한 것”이라 평가한 뒤 “미국 등 국제사회와 긴밀히 연계해 중국에게 긴장을 일방적으로 높이는 행위를 하지 말라고 강하게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일부 일본 언론들은 중-일간의 우발적 충돌을 막기 위한 ‘해상연락메커니즘’(중-일 군 당국간 핫라인)을 조속히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동중국해에선 중-일 양국이 전력을 집중하고 있어 한쪽이 상대의 움직임을 자칫 오해할 경우 언제든 우발적 충돌이 벌어질 수 있다. 이는 한반도 정세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