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미우리·산케이·마이니치 등
위안부 문제 언급 않고
미래지향 관계 발언 긍정적 평가
위안부 문제 언급 않고
미래지향 관계 발언 긍정적 평가
한국에선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8·15 추도식에서 ‘깊은 반성’과 ‘추도의 뜻’을 입에 담지 않았다는 사실이 화제로 떠올라 많은 비판이 제기됐지만, 일본 언론들은 오히려 일본이 한국 등 주변국을 배려한 것이라는 평가를 내놨다. 또 박근혜 대통령이 8·15 경축사에서 한-일 관계의 ‘미래지향’을 언급한 것에 대해 긍정적인 사설을 쏟아내며 앞으로 한-일간 안보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문을 잊지 않았다.
일본 주요 언론들은 16일 박 대통령이 8·15 경축사에서 한-일 관계에 대해 “역사를 직시하는 가운데 미래지향적인 관계로 새롭게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라고 지적한 데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일본 보수의 정서를 대변하는 <요미우리신문>은 사설에서 박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양국간 관계 발전의 중요성을 호소했다. 위안부 문제에 대해 한 마디도 언급하지 않고, 역사 인식을 문제로 일본에 주문을 걸지도 않았다. 박씨가 역사 문제를 지나치게 중시하는 자세를 고친 것은 (양국간) 관계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도 한국 등 주변국을 향해 적잖은 배려를 했음을 드러냈다. 신문은 그 예로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야스쿠니신사 참배를 포기한 점이나 극우적 정치 성향을 가진 이나다 도모미 방위상이 신사 참배를 포기하고 아프리카 지부티로 해외 출장을 나선 점 등을 꼽았다. 실제 신문은 “총리 주변의 한 인사가 이나다 방위상에게 ‘정치적 지혜를’ 짜내 15일 참배를 피하도록 조언했다”는 일화를 소개했다. 역사 수정주의적 정치관을 가진 이나다가 방위상의 자격으로 신사를 참배할 경우 한국이나 중국은 물론 미국에까지 외교적 파장을 끼칠 수 있음을 일본 정부 내에서도 우려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나경원 의원 등 한국 국회의원 10명이 독도를 방문했지만, 일본이 이희섭 주일 한국공사를 초치한 수준에서 항의 수위를 조절했다는 분석을 내놓은 언론도 있었다.
진보 언론에서도 호평이 이어졌다. <마이니치신문>은 이날 ‘온건했던 광복절 연설’이란 제목의 사설에서 “아베 총리의 역사 인식을 경계하는 말을 거듭하고, 위안부 문제의 조기 해결을 촉구해 온 지난해까지 (광복절 경축사와는) 달랐다. 일·한의 정치지도자들이 지난 수년 동안 내셔널리즘을 자극해 상호간의 국민감정을 악화시켜왔다. 이런 악순환에서 벗어난 것에 대해 환영한다”고 말했다.
한국이 일본을 상대로 위안부 문제 등 과거사에 대한 언급을 자제하고 한-일 관계를 개선하면 어떤 협력 관계를 만들어갈 수 있을까. 일본 언론이 요구한 것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중국의 해양진출에 맞서기 위한 안보협력이었다.
<마이니치신문>은 박 대통령의 경축사를 높이 평가한 뒤 “(현재) 동북아시아의 정세는 점점 엄혹해지고 있다. 일·한 양국에게 미국을 포함한 3국 연대는 중요하다. 일-한 관계의 개선을 통해 안보협력을 발전시키고 싶다”는 속내를 밝혔다. <니혼게이자이신문>도 “정보를 더 긴밀히 공유할 수 있는 일-한의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의 체결을 서두르고 싶다. 한국의 사드 배치에 반발하며 북한 쪽으로 기우는 자세를 보이고 있는 중국에 대한 대응도 일-한 공통의 과제”라고 밝혔다.
한국 의원들이 독도를 방문한 사실을 1면 톱으로 강하게 비판한 극우 <산케이신문>마저, 박 대통령이 사드 배치에 대해 강한 의지를 밝힌 데 대해 사설을 통해 “대통령이 (중국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안보상 필요한 조처에 대해선 배치의 의의를 설명한 것은 매우 타당한 일”이라는 평가를 남겼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관련 영상] 거침없는 민심 역주행 /더정치 #10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