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규 주일 한국대사가 17일 3·11 원전 참사가 발생한 후쿠시마를 방문해 “후쿠시마의 정확한 상황을 전해 하루라도 빨리 한국과 후쿠시마의 교류가 활발히 이뤄지게 하겠다”고 밝혔다.
<후쿠시마민보> 등 18일 일본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 대사는 우치보리 마사오 후쿠시마 지사와 회담을 마친 뒤 일본 기자들과 만나 후쿠시마산 농·수산물에 대해 한국이 갖고 있는 불안 심리에 대해 “이런 상황이 하루 만에 개선되는 것은 어렵다”면서도 “한국 국민이 (후쿠시마를) 직접 본다면 서서히 개선이 될 것이라 본다. 과학적 수치를 포함해 후쿠시마현의 정확한 사정을 본국에 전하는 게 내 일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국과 후쿠시마를 잇는 정기 항공편의 재개에 대해선 “항공회사가 승객을 확보하는 게 가능하다는 확신이 서면 가능할 것”이라는 견해를 밝히면서 지사가 직접 항공사 쪽에 요청을 해보면 어떻겠느냐는 의견을 전했다고 일본 언론들이 밝혔다. 지난 7월 일본에 부임한 이 대사는 지난 4월 말 큰 지진을 겪은 구마모토를 방문한 데 이어, 지난 17일 후쿠시마를 잇따라 방문했다.
이 대사의 이번 발언은 주일대사로서 3·11 참사를 겪은 뒤 지금도 방사능 오염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후쿠시마 사람들을 위한 덕담으로 들린다. 그러나 한-일 양국이 지난해 5월부터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문제를 둘러싸고 세계무역기구(WTO) 분쟁해결 절차에 따른 분쟁을 겪고 있는 상황임을 감안할 때 다소 부주의한 발언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
한국 정부는 2013년 8월 3·11 원전 참사가 일어난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전 주변의 오염수 유출이 계속되자 후쿠시마현 등 주변 8개 현의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한 바 있다. 그동안 일본 정부는 농림수산성·외무성 등 정부 창구뿐 아니라 어업단체 관계자 등 민간기구를 통해서도 “한국 정부의 (수입 금지) 조처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며 철회를 끈질기게 요구해왔다.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금지를 위한 ‘촛불집회’에서 확인됐듯 먹거리 안전에 대한 한국 국민들의 관심이 매우 높아 후쿠시마산 수산물의 수입을 섣불리 재개할 경우 상당한 국민적 반발이 일어날 수 있다.
이번 발언에 대해 주일 한국대사관은 “주재국 상황에 대해 정확히 본국에 전달하는 것이 대사관의 임무임을 확인하면서 후쿠시마 원전 관련 정보도 제대로 전달되고 있음을 강조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