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들 절반 가량은 주한 일본대사관 앞의 소녀상을 철거하지 않은 채 10억엔을 한국 정부가 만드는 위안부 피해자 지원재단에 출연하기로 한 일본 정부의 결정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니혼게이자이신문>과 <티브이(TV) 도쿄>가 지난 26~28일 전국 18살 이상 남녀 10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29일 보도한 내용을 보면, 소녀상 철거없는 10억엔 출연에 대해 일본인 응답자의 49%가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혀 ‘찬성한다’(37%)는 의견을 크게 앞섰다. 세부적으로는 집권당인 자민당 지지층에서 반대가 52%로 과반을 넘었으나, 지지정당이 없는 층에서도 반대가 48%를 차지해 큰 차이는 없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일본 쪽의 우리 정부에 대한 소녀상 철거·이전 요구가 더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지난 24일 각의(국무회의)에서 화해·치유재단 출연금 지출을 의결하면서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이 “(한일) 합의에 근거한 일본 쪽의 책무는 다 끝났다. 한국 쪽의 ‘적절한 해결 노력’을 바란다”고 말해 소녀상 철거·이전과 관련한 한국 정부의 ‘성의’를 거듭 압박한 바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12월 서울에서 열린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한국 정부와 위안부 문제의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에 합의하면서 화해·치유재단에 대해 10억엔을 출연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와 함께 아베 정권에 대한 지지율은 62%를 기록해 전달보다 4%포인트 상승했다. 아베 정권의 지지율이 60%를 넘은 것은 2년만에 처음이다. 그 원인으로는 일본의 리우 올림픽 선전과 이에 따른 4년 뒤 도쿄 올림픽 기대감 등이 꼽혔다. 아베 총리가 2020년 도쿄올림픽까지 총리직을 계속하기를 바라느냐는 질문에도 59%가 ‘그렇다’(반대 29%)고 답했는데, 지난번 조사에선 아베 총리의 임기 연장에 45%가 ‘반대’해 ‘찬성’ 41%를 앞섰는데 상황이 급반전된 것이다.
그러나 아베 총리의 경제정책인 ‘아베노믹스'에 대해서는 여전히 43%의 응답자가 ‘(높게) 평가하지 않는다’고 답해 ‘평가한다’(40%)는 답을 웃돌았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