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일본의 제1야당인 민진당 대표로 선출된 렌 호(48) 대표. 도쿄/AFP 연합뉴스
일본 제1야당 대표로 여성이 선출됐다. 아베 정권이 추진하는 헌법 개정과 그동안 야권에서 추진해 온 ‘야권 연대’ 등에 어떤 입장을 보일지에 관심이 집중된다.
일본의 제1야당인 민진당은 지난 15일 렌 호(48) 현 대표대행을 신임 대표로 선출했다. 렌 신임 대표는 이날 치러진 대표 선거에서 당내 강경파를 대표하는 마에하라 세이지(54) 전 외무상을 여유 있게 따돌리고 승리를 거머쥐었다. 제1야당 대표에 여성이 선출된 것은 “산이 움직였다”는 말로 화제를 모았던 1986년 옛 사회당(현 사민당)의 도이 다카코 이후 처음이다. 렌 대표의 임기는 2019년 9월까지다.
그러나 렌 대표의 앞날엔 쉽지 않은 싸움이 기다리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이번 대표 선거 기간에 불거진 이중국적 논란이다. 렌 대표의 부친은 대만인으로 선거 기간 동안 렌 대표가 대만 국적을 포기했는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됐다. 렌 대표는 대만 국적을 포기한다는 서류를 다시 한번 접수하며 관련 논란에 마침표를 찍으려 했지만, 이 문제는 향후 일본 우익으로부터 좋은 공격 대상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문제는 오카다 가쓰야 전임 대표가 유지해 온 공산당과의 선거 연대 방침이다. 오카다 전 대표는 지난해 안보법제 반대운동을 주도해 온 시민단체들과 협력해 제2야당인 공산당 등과 지난 7월 참의원 선거의 32개 1인 선거구에서 단일후보를 내세우는 선거 연대를 이어왔다. 이를 통해 11승21패로 선전했지만 참패까지는 막지 못했다.
이와 관련해 흥미를 모으는 것은 렌 대표가 당내 2인자인 간사장에 노다 요시히코 전 총리를 임명했다는 점이다. 노다 간사장은 그동안 공산당 등과의 선거 연대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그러나 16일 간사장 지명 뒤엔 “강한 자민당·공명당 연합군과 싸우기 위해선 야당간의 연대가 불가결하다”며 한발 물러서는 태도를 보였다고 일본 언론들이 전했다. 당장은 고이케 유리코의 도쿄 도지사 당선으로 공석이 된 ‘도쿄 10구’ 등에 대한 10월23일 보궐선거에 야권이 단일후보를 세울 수 있을지가 관심이다.
렌 대표는 개헌 문제에 대해선 기존 오카다 대표의 노선을 계승해 “9조 개정엔 절대 반대”라는 입장을 지켜왔고, 큰 틀에서 이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