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집회한 일본 시민들이 3·11 후쿠시마 원전 참사로 인한 피해를 국가와 도쿄전력이 전면적으로 부담해야 한다는 펼침막을 들고 있다.
“우리는 반드시 이길 겁니다. 왜냐면, 이길 때까지 싸울 거니까요.”
22일 ‘9·22 사요나라(안녕) 원전, 사요나라 전쟁 대집회’가 열린 도쿄 요요기공원 야외음악당은 세찬 가을비 속에서도 활기에 가득 차 있었다. 지난 3·11 후쿠시마 원전 참사 이후 끈질기게 탈핵운동을 전개해온 일본 시민들이 매우 의미있는 ‘승리’를 손에 넣었기 때문이다. 사고 위험이 일반 원자로에 견줘 너무 높아 ‘악마의 원자로’라 불리는 고속증식로 ‘몬주’에 대한 일본 정부의 전날 폐로 결정이었다.
이날 집회를 주최한 ‘사요나라 원전, 1천만 서명 시민의 모임’의 사와치 히사에(작가)는 “정부는 몬주를 없앤다는 결정은 내리면서 왜 몇년 안에 원전을 없앤다는 얘기는 못하는가”라고 말했다.
5년 전 3·11이라는 끔찍한 참사를 겪은 일본 사회는 원전 재가동을 추진하는 아베 정권에 맞서 힘겨운 싸움을 벌이는 중이다. 일본인들은 아베 정권으로부터 ‘탈핵 선언’이라는 백기를 쟁취하진 못했지만, 원전 재가동이 손쉽게 추진되는 상황도 아니다.
현재 일본에 남은 43개 원자로 가운데 가동 중인 원자로는 센다이 원전 1·2호기, 이카타 원전 3호기 등 3기뿐이기 때문이다. ‘시민의 모임’의 발기인인 작가 가마타 사토시는 “원자력 행정은 이미 막다른 길에 몰려 있다. 정책을 전환시키는 큰 물결을 만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탈핵과 관련해 일본에서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는 곳은 지난 4월 구마모토 지진 발생 이후 ‘일시 정지’ 요구가 커지고 있는 가고시마현 센다이 원전이다.
지난 7월 ‘원전 일시 정지’를 공약으로 내세워 당선된 미타조노 사토시 가고시마현 지사는 규슈전력에 두 번이나 “원전을 일단 정지하고 재점검을 할 것”을 요구했지만 뜻을 이루진 못했다. 구마모토 지진의 진원지였던 마시키마치에서 원전까지의 거리는 150㎞지만, 경주와 고리 원전의 거리는 20여㎞다.
원전 마피아들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도 쏟아졌다. 몬주의 입지 지자체인 후쿠이현에서 온 미야시타 쇼이치 ‘원자력발전에 반대하는 후쿠이 현민회의’ 사무국장은 “몬주는 냉각재로 금속 나트륨을 쓴다. 공기에 닿으면 불이 붙고, 물과 닿으면 폭발이 일어난다. 후쿠시마 같은 사고가 일어날 경우 제어를 할 수 없다”고 말했다. 플루토늄 반감기는 무려 2만4000년이기 때문에 몬주에서 후쿠시마급의 사고가 일어나면 일본 국토의 절반은 영원히 인간이 살 수 없는 죽음의 땅이 된다.
미야시타 사무국장은 “그런데도 후쿠이현의 쓰루가 시장이나 후쿠이현 의회 등은 몬주 폐로에 반대하고 있다. 현민의 건강이나 목숨보다 눈앞의 경제적 이익과 자신들의 지위만을 생각하는 이들”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도쿄/글·사진 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