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언론들 26일치 조간에서 비상한 관심
일본의 숙원인 군사정보보호협정 체결에 악영향 우려도
일부 언론들은 ‘탄핵’ 가능성 지적, “또다른 혼미에 빠질 가능성”도
일본 언론도 26일 한국의 최순실 국정 농단 사건에 비상한 관심을 드러냈다. 박근혜 대통령과 ‘악연’이 있는 <산케이신문>이 이 사태를 1면에 다룬 게 눈에 띈다.
일본 언론들도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 실세’인 최순실씨의 국정 농단 사태에 비상한 관심을 기울이며 “박 대통령이 스스로 만든 위기에 빠졌다”고 지적했다. 일부 언론들은 한국의 국정 공백 장기화를 우려하거나 ‘탄핵’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요미우리신문>은 26일 국제면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25일 자신의 연설 원고와 정부의 비공식 문서를 사인인 지인에게 보여준 것을 인정하며 국민에게 사죄했다”며 “야당 내에서도 비판이 분출하고 있고 지지율이 25%까지 급락해, 박 대통령의 국정 구심력 저하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아사히신문>도 “박 대통령은 25일 사죄를 통해 이번 사태의 막을 내리려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청와대 문서 유출은 ‘대통령기록물법’상 금지되어 있다. 재임 중 형사소추는 당하지 않겠지만 야당의 비판이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사태의 장기화를 예측했다.
<도쿄신문>은 2면 등에서 박근혜 대통령을 둘러싼 일련의 사태를 크게 보도하며 “박 대통령이 법 위반에 따른 책임을 추궁당하는 동시에 이후 국회에서 탄핵 소추안이 제출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박 대통령, 구심력 저하에 박차’라는 국제면의 별도 기사에선 “일본이 목표로 하던 군사정보보호협정 체결 등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를 전하기도 했다. 일본에선 12월 초로 전망돼 온 박 대통령의 취임 이후 첫 방일에 맞춰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체결이 실현되는 게 아니냐는 기대감이 높아지던 상황이었다.
이번 사태를 가장 주요하게 보도한 것은 박근혜 대통령과 ‘악연’이 깊은 <산케이신문>이었다. 신문은 “박 대통령은 2014년 4월 여객선 세월호 침몰 사태 때 국민들 앞에 눈물을 흘리며 사죄를 했다. 그러나 이번 사태는 스스로 직접 관여되지 않은 침몰 사고와 달리 박 대통령 스스로 만든 불상사”라며 이번 사태의 책임이 전적으로 박 대통령에게 있음을 강조했다. 신문은 이어 “북한 문제나 국내 경제 침체 등 여러 중요 과제를 안고 있는 박 대통령이 개헌 카드를 꺼내 들었지만, 하루 만에 그를 둘러싼 환경이 악화되고 말았다. 스스로를 궁지에 몰고 만 박 대통령이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하기는 매우 어렵다. 박 정권 아래의 한국이 또다른 혼미에 빠질 가능성도 부인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