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24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중일 3국 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한 윤병세 외교부 장관(맨 왼쪽)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왼쪽 두번째),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맨 오른쪽)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오른쪽 두번째)를 합동예방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이 다음달 일본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하겠다는 의사를 일본 정부에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18일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일본 정부가 12월 도쿄 개최를 목표로 하고 있는 일-중-한 정상회담과 관련해 한국 정부가 박근혜 대통령이 출석하겠다는 의향을 전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일본 정부는 12월19~20일 이 회담을 여는 방향으로 최종 조정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의 이번 조처는 국민들의 사퇴 요구를 거부하고 내치는 물론 외교·국방 등 외치 활동도 본격 재개하겠다는 분명한 의사표현으로 해석된다.
일본 정부는 애초 한-중-일 정상회담을 다음달 3~4일에 열자는 의사를 한국과 중국에 전해왔다. 그러나 양국 정부로부터 명확한 회신이 오지 않자 ‘12월 19~20일’이라는 새로운 일정을 제시했었다. 그러나 이후 한국에선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이 사실로 입증되며, 박 대통령의 사퇴를 요구하는 100만인 촛불집회가 열리는 등 반발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박 대통령의 이번 방일은 일본에게도 초미의 관심사였다. 이번 방일이 일본이 그동안 한국에게 끈질기게 요구해 온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체결 연장선상에서 논의돼 왔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일본 정부의 주요 당국자들은 “한국의 국내 정세가 박 대통령의 방일엔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히는 등 이번 방일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심초사해 왔다. 일본 외무성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박 대통령이 회의에 출석할 경우 리커창 총리도 이를 거부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은 것으로 전해졌다.
신문은 그러나 “한국 국회의 과반수를 점하는 야 3당이 박 대통령의 사임을 요구하고 있어 실제 출석이 이뤄질지는 유동적이라는 견해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날 일본 언론의 보도 직후, 청와대는 한·중·일 정상회의에 박 대통령이 참석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나 한국이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을 통보해왔다는 일본 <아사히신문> 보도에 대해 “일정이 확정되면 아마도 참석하실 것으로 본다”며 “통보했다는 말은 듣지 못했다”고 말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최혜정 기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