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가운데)이 지난 4일 도쿄증권거래소의 새해 개장식에서 개장을 알리는 종을 치기 전 포즈를 취하고 있다. 도쿄/AP 연합뉴스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이 10일 한국 정부의 위안부 합의 이행을 요구하면서 한-일 통화스와프 협정 체결시 한국에 돈을 빌려줬다가 떼일 수도 있다는 비유를 들어 논란이 예상된다.
아소 부총리는 이날 각의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통화 스와프 협상은) 돈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신뢰관계로 이뤄지는 것”이라며 “신뢰관계가 없어지면서 (협상 재개가)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고 일본 <지지통신>이 보도했다. 아소 부총리는 또 “(한일 합의라는) 약속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빌려준 돈도 돌려받지 못할 것”이라며 “스와프 따위도 지켜지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이야기가 된다”고 주장했다.
아소의 발언은 12·28 ‘한일간 위안부 문제 합의사항’ 이행을 촉구하는 과정에서 나왔지만, 기자들과의 공식 문답 자리에서 매우 부적절한 발언으로 비춰진다.
아소 부총리는 이전에도 여러차례 극우적 시각을 드러내거나 부적절한 발언으로 입길에 오르면서 ‘망언 제조기', ‘실언 제조기’라는 별칭을 얻은 인물이다.
지난해 6월에는 홋카이도에서 열린 자민당 집회에서 노인들의 소극적인 소비 성향을 거론하며 “90살이 되고도 노후가 걱정된다는 등의 이해 안되는 말을 하는 사람이 티브이(TV)에 나오는데 ‘언제까지 살아 있을 생각인가’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가 곤욕을 치렀다. 앞서 2014년 12월에는 홋카이도 중의원 선거 지원 유세 과정에선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사회보장 비용 증가 문제를 언급하면서 “노인이 나쁜 것 같은 이미지를 만드는 사람이 많지만, 아이를 낳지 않는 쪽이 문제”라고 주장했다. 이런 발언은 육아와 관련한 경제적 부담, 탁아시설 미비 등의 이유로 아이를 낳지 못하는 사람들의 심정과 동떨어진 것이라는 비판이 들끓었다. 2013년 7월 강연에서는 개헌 당위성을 이야기하면서 나치 정권이 헌법을 무력화한 수법을 배우자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가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았다. 2003년 6월 도쿄대 강연에서는 과거 일제가 조선 황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강제했던 창씨개명에 대해 “조선인들이 ‘성씨를 달라'고 한 것이 시발이었다”는 황당한 주장을 하기도 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