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월 평창겨울올림픽 개막식을 맞아 방한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한-일 양국 정부가 문재인 대통령의 10월 방일을 위해 협의를 진행할 것이란 일본 언론 보도가 나왔다.
<요미우리신문>은 21일 “문재인 한국 대통령이 연내에 일본을 방문해 일-한 정상회담을 진행할 전망이다. 미래 지향적인 일-한 관계 구축을 선언한 1998년 ‘일한 공동선언’(한-일 파트너십 선언) 서명 20년이 되는 10월을 축으로 양국 정부가 검토를 진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보도대로 문 대통령이 일본 방문이 실현되면, 2011년 12월 이명박 대통령의 방일 이후 7년 만에 한국 정상이 일본 땅을 밟는 게 된다. 전임 박근혜 대통령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으로 인한 한-일 갈등 심화와 졸속적인 한-일 정부간 12·28 합의에 대한 국내 반발로 인해 끝내 일본을 찾지 않았다.
실제, 문 대통령이 일본을 찾는다면, 한-일 파트너십 선언 20주년을 맞는 10월이 적당한 시기로 꼽힌다. 김대중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 총리가 1998년 10월8일 서명한 이 선언을 계기로 양국 관계가 크게 개선되며 한-일 문화 교류가 활발해졌고, 이 흐름을 통해 2000년대 후반기까지 이어진 일본 내 ‘한류 붐’이 나왔다. 김대중 대통령은 선언에서 일본이 전후 50여년 동안 평화헌법 아래서 전수방위(일본의 무력은 방위를 위해서만 사용한다는 원칙)와 비핵3원칙 등을 통해 국제 사회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수행해 온 역할을 높이 평가했고, 오부치 총리는 한국이 민주화와 경제성장을 동시에 달성했다는 사실에 경의를 표했다.
문 대통령의 10월 방일은 외교 일정상으로도 큰 무리가 없는 듯 보인다. 8월 말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4차 방북과 9월에 평양에서 열리는 3차 남북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관련해 의미 있는 진전이 이뤄지면, 문 대통령이 아베 총리를 직접 만나 한반도의 비핵화와 북한의 경제 발전에 일본이 긍정적인 역할을 해달라고 설득할 수 있다. 또, 아베 총리가 지난 2월 평창겨울올림픽 개막식 참석을 위해 방한했었기 때문에 이번엔 문 대통령이 답방할 차례가 된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