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수영 단원고 교사는 지난해 4월16일 ‘세월호 참사’ 당시 제자들을 구하려다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리고 그해 5월19일 그의 주검이 수습됐습니다. 전수영 교사의 어머니가 1년째 되는 날 딸을 생각하며 <한겨레>에 글과 시를 보내왔습니다.
고 전수영 단원고 교사
아카시아꽃이 피는 시기에
꽃을 쫓아다니는
꿀 따는 사람들 이야기 팽목항으로 가는 고속도로 주변에
아카시아꽃이 피었구나
예쁜 딸하고 같이 여행을 간다면
엄마가 아카시아꿀 따는 이야기를 해 줄 텐데
수영이는 아카시아꽃이 피는 것도 보지 못했다
이제 막 피기 시작한 꽃을
우리 수영이를 찾으면 보여줘야지
에어포켓이나 어디 근처 무인도에 살아있을 딸에게 그 다음 주 팽목항으로 내려가는 길 주변에
아카시아꽃이 더 활짝 피기 시작했다
우리 수영이를 찾으면
꽃을 따서 먹여줘야지
내가 어렸을 적에
먹어본 경험을 이야기하면서
괜찮으니까 먹어보라고 해야지 그렇게 몇 번이 지나고
우리 수영이의 참혹한 시신이 수습되기 전 날
팽목항에서 집으로 올라오는 버스 안에서
문득 창밖을 보는 순간
아카시아꽃이 다 져버렸다 아! 어느새 꽃이 졌네
이제 꿀 따는 사람들은 힘든 여행길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겠구나
아카시아꽃은 이렇게 짧게 피고 지는 구나 그 다음날
우리 수영이는 엄마에게 돌아왔다.
엄마는 딸의 영혼에게 아카시아꽃을 먹이고
꿀 따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수영아! 맛있지? 듣고 있지? 최숙란/ 전수영 단원고 교사의 어머니
세월호 현장에서 제자들을 구하다 희생된 단원고 전수영 교사는 어릴 적 꿈도 교사였다. 엄마는 죽음 앞에서도 ‘학생들만 생각했던’ 딸의 행동이 자랑스럽다. 딸은 지금도 엄마한테 말한다. “학생들 못 지켜서 미안하다고 학부모님께 전해줘.” 엄마는 지난해 5월20일 딸의 빈소에서 오열하는 딸의 어린 제자들을 꼬옥 안아주었다. 엄마 최숙란씨가 딸의 책상에 앉아 딸의 유품을 바라보고 있다. 박승화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