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유레카] ‘벼락거지’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정남구

등록 2021-07-27 16:52수정 2021-07-28 02:06

2013년 3월 말 공직자윤리위원회가 국회의원들의 재산 현황을 공개했다. 국회의원 296명의 재산이 평균 94억9천만원이나 됐다. 다들 그렇게 억만장자였던 것은 아니다. 새누리당 정몽준 의원(1조9249억원)과 고희선 의원(1984억원)의 재산이 평균값을 큰 폭으로 끌어올렸다. 두 사람을 빼고 294명의 재산을 계산하면 평균값이 4분의 1도 안 되는 23억3천만원으로 줄어든다. ‘평균의 함정’이다.

지난 22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국민대차대조표’를 보면, 지난해 말 우리나라 가구당 순자산이 평균 5억1천만원으로 집계됐다.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전체 순자산(1경423조원)을 추계 가구 수(2035만)로 나눈 값이다. 집값이 뛰어 전년보다 11.9% 증가했다. ‘구매력 평가 환율’로 환산하면 59만4천달러로 50만달러인 일본보다 많다. 비영리단체가 포함돼 있어 가계 평균보다 조금 부풀려져 있긴 해도, 1인가구까지 포함해 계산한 가구당 순자산이 5억원을 넘는다니 다들 그렇게 부자인 것일까?

계층별로 자산 현황을 나눠서 살펴보면, 여기에도 평균의 함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통계청이 금융감독원, 한국은행과 공동으로 전국 2만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하는 ‘가계금융복지조사’는 계층별 순자산 분포를 보여준다. 2020년 3월 말 기준 가구당 순자산은 3억6287만원이었다. 크기순으로 일렬로 세웠을 때 한가운데 선 사람(중위값)의 순자산은 2억218만원에 그쳤다. 평균과 중위값의 차이가 큰 것은 소수 부자가 평균값을 끌어올리기 때문이다.

전체 가구의 3분의 1(32.2%)은 순자산 보유액이 1억원 미만이다. 절반 가까이(49.6%)가 순자산이 2억원에 미달했다. 3억원 미만을 합치면 62.3%에 이른다. 보통 사람의 재산 정도는 그렇다. 순자산이 10억원 이상인 가구는 7.2%에 불과했다.

상위 10%(8억3372만원 이상)의 순자산 점유율은 2018년 42.3%에서 2019년 43.3%, 2020년 43.7%로 해마다 커지고 있다. 가계 자산 증가는 ‘거주 주택’의 가격 상승이 이끌고 있다. 서울 아파트 중위값이 9억원을 넘어설 정도니, 재산이 전체 가구 가운데 중간쯤인 사람도 ‘벼락거지’라고 자조한다.

정남구 논설위원 jeje@hani.co.kr

자료=통계청 2020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통계청 2020 가계금융복지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미·러는 진짜 3차 세계대전을 원하는 걸까 [세상읽기] 1.

미·러는 진짜 3차 세계대전을 원하는 걸까 [세상읽기]

좌파가 만든 중국 새 국기 오성홍기 2.

좌파가 만든 중국 새 국기 오성홍기

‘세수 펑크’ 30조, 이 정도면 일부러 그런 것 아닌가? [9월27일 뉴스뷰리핑] 3.

‘세수 펑크’ 30조, 이 정도면 일부러 그런 것 아닌가? [9월27일 뉴스뷰리핑]

의료의 ‘의’ 자도 ‘배추값’도 없던 용산 만찬…밥이 목적이었나? 4.

의료의 ‘의’ 자도 ‘배추값’도 없던 용산 만찬…밥이 목적이었나?

[사설] 김 여사 불기소하면 검찰에 두고두고 책임 남을 것 5.

[사설] 김 여사 불기소하면 검찰에 두고두고 책임 남을 것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