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노사이드의 기억 독일 _02
화장터 기계 장치를 살펴보는데 주검을 화덕(오븐)에 넣고 잠그는 쇠뭉치 손잡이가 유독 눈에 들어왔다. 그때까지도 녹슬지 않고 반지르르했던 손잡이는 매우 간결하고 견고하게 만들어져 있었다. 수만명을 화장하면서 여닫기를 셀 수 없이 반복했어도 여태껏 고장 나지 않고 있다니. 순간 섬뜩한 생각에 더 끔찍해 보였다.
나치 홀로코스트의 대명사인 아우슈비츠를 다녀오려고 준비하고 있던 무렵 언론사 선배이며 소설가인 김훈은 나에게 “독일 가면 바이마르의 부헨발트 수용소를 꼭 가보길 바란다”며 당신의 작업실을 찾았을 때 부헨발트와 관련한 두꺼운 도록을 건네주었다. 그 몇해 전 지인들과 독일 고전주의 대표 작가로서 바이마르에서 생을 마감한 괴테와 실러의 삶을 살펴보기 위해 바이마르를 들렀다가 시 외곽에 있는 부헨발트 강제수용소도 살펴보았단다. 김훈은 “그곳에 가보면 인간이 얼마나 야만적이었는지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나는 그때까지만 해도 아우슈비츠 정도만 알고 있었을 뿐, 게토를 포함한 수용소가 나치 치하 유럽에 4만곳 이상 운영됐다는 것조차 모르고 있었다.
2017년 4월25일 찾은 독일 튀링겐주 바이마르시 국립극장 들머리엔 괴테와 실러 동상이 한 기둥에 함께 세워져 있었다. 인구는 6만5천명(2021년) 정도밖에 안 되는 작은 도시이지만 독일뿐 아니라 유럽의 문학, 철학, 음악 등 분야에서 큰 발자국을 남긴 인물들이 이 도시에서 활약했거나 이 도시를 거쳐갔다. 말 그대로 독일 문화의 중심이었던 이곳에 끔찍한 강제수용소가 세워졌다니….
부헨발트 수용소는 바이마르 시내에서 시내버스로 닿을 수 있는 가까운 거리에 있었다. 들녘은 노랑 하양 보라 등 각양각색 들꽃들이 만발해 있었고 초록은 완연했다. 하지만 큰 나무들은 아직 새싹을 틔우지 않고 있어 고목들은 죽은 듯 더 노쇠하고 쓸쓸해 보였다.
수용소 정문을 지나 들어선 전시장의 기록사진 가운데는 수용소가 해방되던 날 연합군이 찍은,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 주검들 사진이 있었다. 하나같이 마른 나뭇가지처럼 말라 있어 질병이나 배고픔으로 죽어간 듯했다. 화장터 화덕 안에 놓인 추모객들이 가져다 놓은 장미들의 초록 잎과 붉은 꽃잎이 삶과 죽음을 말하는 것 같아 나는 잠시 환영에 빠지고 말았다. 화장터 기계 장치를 살펴보는데 주검을 화덕(오븐)에 넣고 잠그는 쇠뭉치 손잡이가 유독 눈에 들어왔다. 그때까지도 녹슬지 않고 반지르르했던 손잡이는 매우 간결하고 견고하게 만들어져 있었다. 수만명을 화장하면서 여닫기를 셀 수 없이 반복했어도 여태껏 고장 나지 않고 있다니. 순간 섬뜩한 생각에 더 끔찍해 보였다.
또 다른 전시장에는 희생자 유품들이 나열돼 있었다. 나는 밥그릇 앞에서 걸음을 멈췄다. 녹슬지 않는 양은 재질의 밥그릇들은 크기와 모양이 제각각이고 찌그러져 거칠어 보였어도 대체로 온전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었다. 가스실에 들어가기 전까지 저 밥그릇으로 밥을 먹고, 어딜 가나 꼭 챙겨 다녔을 것을 생각하니 밥의 위엄과 가치가 새삼 무겁게 느껴져 숙연해졌다. 밥을 먹는 것은 살아 있다는 것, 살 수 있다는 희망이었을 것이다.
밥그릇을 바라보노라니 강제수용소에서 생존한 한 소설가가 떠올랐다. 아우슈비츠와 이곳 부헨발트 등 수용소에서 수감됐다가 풀려난 뒤 생존 경험을 다룬 소설 <운명> 등으로 2002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헝가리 소설가 임레 케르테스다. 자극적이거나 선동적이지 않고 담담하게 써낸 책 <운명>에서 배고픔과 관련해 “강제수용소의 공장과 이송 도중 기차 안, 아우슈비츠와 부헨발트에서도 배가 고팠다. 온몸이 어떤 구멍이나 공간으로 바뀌어버린 듯했다. (중략) 내가 나무나 쇠나 돌덩이를 먹지 않은 것은 오직 씹거나 소화시킬 수 없기 때문이었다. 모래는 먹어 본 적이 있다. 나는 풀을 보면 결코 망설이지 않았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이곳 수용소에서 풀을 찾아보기가 쉽지 않았다”고 썼다.
수용소를 돌아보고 정문 쪽으로 나오는데 높고 커다란 화장터 굴뚝이 보였다. 굴뚝 꼭대기를 한참을 바라보고 있었는데 먹구름이 몰려와 굴뚝에서 검은 연기가 피어오르는 듯이 보였다. 총 6기 소각로에서는 하루 최대 400구 주검을 태웠다. 생존자들은 주검을 태우면 화장터 굴뚝에서 밤하늘에 불꽃이 튀어오르고 심한 냄새가 난 뒤 나중에는 잿가루가 하늘을 뒤덮어 이리저리 날아다녔다고 증언했다. 뜨겁고 어두운 굴뚝으로 수많은 희생자의 영혼이 빠져나가는 상상의 환각에 더는 굴뚝을 바라볼 수 없었다. 1937~1945년 운영된 이곳 수용소에서는 5만6천여명이 학살됐다.
김봉규 | 사진부 선임기자
다큐멘터리 사진집 <분단 한국>(2011), <팽목항에서>(2017)를 출간했다. 제주 4·3 학살 터와 대전 골령골을 비롯해 전국에 흩어진 민간인 학살 현장을 서성거렸다. 안식월 등 휴가가 발생하면 작업지역을 넓혀 캄보디아 ‘킬링필드’를 비롯한 아시아, 폴란드 전역과 독일, 네덜란드, 체코, 오스트리아 등 나치 시절 강제 및 절멸수용소 등을 15년 넘게 헤매고 다녔다.bong9@hani.co.kr
부헨발트 수용소 박물관에서는 희생자들의 밥그릇을 보관하고 있었는데 찌그러져 거칠어 보이긴 했어도 대체로 온전한 모양을 유지하고 있었다. 부헨발트/김봉규 선임기자
다큐멘터리 사진집 <분단 한국>(2011), <팽목항에서>(2017)를 출간했다. 제주 4·3 학살 터와 대전 골령골을 비롯해 전국에 흩어진 민간인 학살 현장을 서성거렸다. 안식월 등 휴가가 발생하면 작업지역을 넓혀 캄보디아 ‘킬링필드’를 비롯한 아시아, 폴란드 전역과 독일, 네덜란드, 체코, 오스트리아 등 나치 시절 강제 및 절멸수용소 등을 15년 넘게 헤매고 다녔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