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곤힐 호텔’은 서울 용산 미군기지 안에 있는 숙박시설이다. 정식 이름은 ‘드래곤힐 로지’다. 드래곤힐은 ‘용산’(龍山)을 영어로 옮긴 것이며, ‘로지’(Lodge)는 오두막, 산장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오두막이나 산장이라는 표현은 지나치게 ‘겸손’하다.
호텔 터만 해도 약 8만4300㎡(2만5500평)에 이른다. 지하 3층, 지상 6층 높이의 고급스러운 주황색 외벽 건물은 객실 394실과 온천·수영장 등을 갖추고 있다. 호텔 웹사이트(www.dragonhilllodge.com)에 들어가보면 시설 하나하나가 특급호텔로서 손색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본관 옆에는 전통 기와를 얹은 고즈넉한 육각정이 있고, 객실에선 남산과 일대 전경이 막힘 없이 한눈에 들어온다.
드래곤힐 호텔이 문을 연 건 1990년이다. 이미 30년 넘게 지났으니 제법 명소가 될 만도 한데, 대다수 한국인에게는 존재조차 낯설다. 미군과 미군 관계자, 카투사(주한미군 배속 한국군), 미군 구성원 가족과 부대 방문이 허가된 민간인만 이용할 수 있는 ‘비밀의 정원’이기 때문이다.
어디든 구멍은 있기 마련이다. 대표적인 게 ‘지인 찬스’다. 오래전 보도를 보면, 출입증을 소지한 사람이 서너명을 데리고 들어갈 수 있었다. 최근 보도는 보이지 않는다. 미국 정통 스테이크를 맛볼 수 있는 곳이라 해서 선망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특권의식이 한층 맛을 돋웠을 스테이크는 2008년 미국산 쇠고기 파동을 거친 뒤로 인기가 차츰 시들해졌다.
도박장이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했다. ‘한국인 출입 금지’와 ‘원화를 달러로 교환할 수 없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는 그곳에서 평일 대낮에 한국인 수십명이 환전을 해가며 도박을 하고 있다는 식의 르포 기사가 잊을 만하면 나왔다. 단골손님의 80%가 내국인이라는 보도도 있었고, 현직 국회의원이 카지노를 하다 카메라에 찍혀 보도된 일도 있다.
하지만 드래곤힐 호텔의 존재가 온 국민의 뇌리에 각인된 건 아주 최근의 일이다. 이 호텔이 있는 주한미군 잔류 기지(약 10만㎡)가 대통령 집무실과 담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다는 사실이 공개되면서다. 급히 대체부지 협상에 착수한다는데, 또 수천억원이 들게 생겼다. 윤석열 대통령의 ‘용산 시대’는 얼마나 비용을 더 들여야 온전히 열릴 수 있을까.
안영춘 논설위원
jo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