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유레카] 역엥겔의 법칙 / 정남구

등록 2007-11-20 18:20수정 2007-11-20 18:22

정남구 논설위원
정남구 논설위원
유레카
독일 작센주 통계국장으로 일하던 에른스트 엥겔은 1857년 153가구의 가계지출을 조사하면서 특이한 사실을 발견했다. “가계의 소비지출 가운데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엥겔계수)이 고소득 가계로 갈수록 낮아진다”는 점이었다. 이 ‘엥겔의 법칙’은 한 나라의 소득수준이 높아지는 과정에서도 발견된다.

지난해 우리나라 도시 근로자 가구 가운데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 계층의 식료품비는 전체 소비지출의 29%, 5분위 계층은 23%였다. 전체 가구의 엥겔계수도 1982년 41에서 지난해 26으로 낮아졌다. 애초 엥겔은 외식비를 식료품비에 넣지 않았다. 우리나라 식료품비 가운데 외식비는 82년 7%에서 지난해 49%까지 급증했는데, 이를 빼고 엥겔계수를 셈하면 하락 속도는 더욱 가팔라진다.

엥겔의 법칙과 정반대 움직임을 보이는 게 우리나라 가계의 사교육비 지출이다. 소비지출 가운데 ‘보충교육비’ 비중은 82년 0.8%에 불과했다. 90년에 3%, 95년에 4%를 돌파한 뒤 2003년에 6%대로 뛰었다. 2006년에는 7.1%에 이르렀다. 소득이 늘어날수록 사교육비 지출 비중이 커지고 있다.

그런데 고소득 계층으로 갈수록 소비지출에서 사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더 커질까? 그렇지는 않다. 지난해 1분위 계층의 사교육비 비중은 4.5%, 2분위는 6.3%, 3분위는 7.7%였다. 하지만 4분위, 5분위 계층은 3분위 계층과 거의 똑같았다.

물론 고소득층은 자녀를 유학 보내는 사례가 더 많기는 할 것이다. 그러나 사교육비 지출에서 ‘역엥겔의 법칙’이 완벽하게 나타나지 않는 다른 이유가 있는 듯하다. 교육비는 투입을 무한정 늘린다고 해서 그 효과가 투입에 비례해 높아지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나라가 공교육 투자를 늘릴수록 부모의 소득 격차 때문에 생기는 교육 불평등을 그만큼 줄일 수 있다는 방증이다.

정남구 논설위원 je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1.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2.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3.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4.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5.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