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정 시인
일이 참 많다. 그리하여 바쁜 척하느라 바쁜 나날이다. 세상에 나라님도 너만큼 공사다망하겠니. 모임 약속이 전해질 때마다 미안하다, 못 간다, 잘들 놀아라, 사과 아닌 핑계에 급급한 내게 친구들은 질투 아닌 질타로 연신 문자메시지를 보내왔다. 너 지금 솔로라고 우리 아줌마들 무시하는 거냐. 왜 이래 아줌마들, 아마추어같이. 중·고교 시절을 함께 보낸 친구들 여섯 가운데 결혼을 안 한 이는 나뿐이다. 당연히 아이가 없는 이도 나뿐이다. 당연히 ‘서방’이 없는 이 또한 나뿐이다. 요즘 친구들 사이에 유행하는 것은 둘째 낳고 셋째 임신하기다. 그들은 모여 앉기가 무섭게 산양 분유가 좋더라, 일본제 기저귀가 역시 다르더라, 전집은 꼭 공동구매로 해라, 영어 방문교사는 돌 되기 전부터 들여라 등 저마다의 육아법을 전수하고 전수받느라 분주하다. 그 옆에서 하품이나 하는 나는, 연신 커피나 리필해 마시는 나는, 밉상처럼 턱 쳐들고 앉아 물음표로 그네들의 말꼬리를 잡아채느라 분주하다. 그냥 끈 풀린 개처럼 말이야, 애들 풀어 키우면 안 되는 거야? 친구들이 쯧쯧 혀를 찼다. 선생인 내가 집으로 선생을 부르는 것만 봐도 모르겠냐. 모르겠다, 나는 혹시라도 결혼하게 되면 애는 무조건 운동선수 시킬 거다. 일이 참 많고 바쁜 척으로 바쁜 나날이지만 그래도 안 놓치는 한 가지가 있다. 스포츠다. 어릴 적 내 꿈은 세상에서 가장 멀리 뛰는 여자였다. 육상부를 나오면서 새로이 품은 내 꿈은 스포츠 뉴스의 기자였다. 어쩌다 시인이 되어 그로부터 멀어진 지 오래지만 여전히 내 꿈은 스포츠를 향해 있다. 올림픽이 열릴 때마다 그 도시에 머무는 여행자가 되겠다는 바로 그것. 요즘 밴쿠버 겨울올림픽이 한창이다. 뜻하지 않게 메달 소식이 전해지면서 스피드스케이팅에 가히 폭발적인 관심이 보태지고 있다. 물론 나 역시도 그렇다. 무관심이 상대적으로 더 큰 환호를 불러오는 셈이다. 우리 선수들은 대부분 1988년 서울올림픽을 전후해서 태어난 신세대들이다. 경기를 지켜보고 시상식에 박수를 보낸 뒤 나는 그들의 미니홈피를 검색해봤다. 메달을 딴 선수는 그 기쁨을, 메달을 놓친 선수는 그 아쉬움을 시시각각 기록해놓고 있었다. 그들은 어리고 어린 그들은 제가 할 수 있고 제가 잘할 줄 아는 일에 최선을 다하고 그 결과에 가식 없이 기뻐하고 체념 없이 승복할 줄 알았다. 주눅 모름과 구김살 없음이란 이름의 젊음, 나는 그것이 더없이 예쁘고 더없이 대견했으며 더없이 부러웠다. 그러나 그 마음 끝에 새로이 새기게 된 단어가 있었으니 이는 다름 아닌 슬픔이다. 슬픔을 몰랐냐고? 아니다. 슬픔이라는 단어가 언제 어디에 어떻게 놓여야 하는지 아주 잘 알게 되었다는 얘기다. “안 되려는 걸 하려니까 슬펐어요.” 올림픽에서 끝내 메달 획득에 실패하고 은퇴를 선언한 이규혁 선수의 말을 나는 두고두고 떠올렸다. 내게 슬픔이다 싶은 감정이 밀려올 때마다 그것이 엄살인지 아닌지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사실 안 된다는 것도 끝 간 데까지 해본 자만이 내뱉을 수 있는 말이 아닌가. 내가 존경하는 인간 기관차 에밀 자토페크가 그랬다. 새는 날고 물고기는 헤엄치고 사람은 달린다고. 따지고 보면 우리 모두 인생의 러너가 아닌가. 비록 현역으로는 링크를 떠났지만 앞으로 이규혁 선수는 지도자로 더 많은 레이스에서 더 빛나는 러너로 역주를 펼칠 것이다. 그는 가슴 가득 꿈을 안고 달리는 진정한 러너를 경험한 바 있으니까. 이참에 나도 러너로 새로이 꿈 하나 꿔본다. 장딴지 굵은 아들 낳아 스케이터로 키우기. 야무지다고? 안 되면 말고! 김민정 시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