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참꼬막, 새꼬막, 피꼬막

등록 2010-11-07 18:35

예종석의 오늘 점심
찬바람이 불면서 꼬막에 맛이 들고 속이 차기 시작했다. 꼬막은 예로부터 임금님의 수라상에 오르는 8진미 중에서도 1품으로 꼽히던 음식이다.

꼬막은 참꼬막과 새꼬막, 피꼬막 등 세 종류가 있다. 으뜸으로 치는 참꼬막은 제사상에 오른다고 해서 제사꼬막으로 불리기도 한다. 참꼬막은 껍질이 두껍고 부챗살 모양의 방사륵(부챗살마루)이 17~18줄 나 있는데 그 골이 깊고 뚜렷한 것이 특징이다. 1803년에 김려가 저술한 우리나라 최초의 어보 <우해이어보>는 기왓골을 닮은 그 모양새를 빗대 이름을 와롱자(瓦壟子)라 했다. <자산어보>에는 감(<86B6>), 와옥자(瓦屋子), 공자자(空慈子) 등의 이름도 기록되어 있으며 “살이 노랗고 맛은 달다”고 했다.

꼬막은 <동국여지승람>에 전라도의 특산품으로 등재되어 있다. 그중에서도 벌교의 것이 가장 맛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참꼬막이 서식하는 벌교 앞바다 여자만의 갯벌은 모래나 황토가 섞인 타지의 갯벌과는 달리 차진 진흙으로 이뤄져 있기 때문이다. 벌교꼬막의 맛은 그 지역 출신 소설가 조정래가 <태백산맥>에서 묘사한 것처럼 “간간하면서 쫄깃쫄깃하고 알큰하기도 하고 배릿하기도 한” 복합적인 맛이다. 그는 외서댁을 겁탈한 염상구의 입을 빌려 “쫄깃쫄깃한 것이 꼭 겨울 꼬막 맛이시”라는 다분히 외설적인 비유까지 마다하지 않을 정도로 꼬막에 대한 애정을 내비친다. 꼬막은 반찬으로도 좋지만 윤기가 가시지 않게 살짝 데쳐놓으면 술안주로도 그저 그만이다. 게다가 헤모글로빈과 단백질, 비타민, 철분 등 각종 영양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여성이나 노약자들의 보양식으로도 훌륭하다.

서울 인사동의 여자만에 가면 여자만에서 올라온 참꼬막을 맛볼 수 있다.

한양대 경영대학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1.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2.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3.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4.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5.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