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야! 한국사회] 사회적 영성 / 김진호

등록 2011-04-04 20:16

김진호 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 연구실장
김진호 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 연구실장
한 토론회에서 ‘사회적 영성’이 화두가 되었다. 그것을 제기한 이는 정치학자인 박명림 연세대 교수였다. 그에 따르면 진리, 계시, 말씀 등이 인간의 몸으로 침투하는 체험이다.

그런데 영성의 전문가여야 할 교회 지도자가 한 교회연합기관의 단체장이 되려고 수십억원을 뇌물로 썼다. 이것은 비단 이번만의 일은 아니다. 내내 그래왔단다. 각 교단장의 선출도 예외는 아니라고 한다. 한편 세계 최대 교회의 원로목사와 부인이 싸움을 벌이고 있다. 여기에 아버지 편의 아들과 어머니 편의 아들의 갈등이 얽혀 있다. 요는 재산권 분쟁이라고 한다. 또 있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초역 근처에 몇천억원대의 교회당을 건축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는 한 교회는 공공도로 지하까지 파고들어가겠단다. 중앙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는 이 편법 공사를 승인해줬다. 이것이 끝이 아니다. 한 대형 교회 목사는 교회 돈 수십억원을 횡령한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다. 다른 대형 교회 목사는 교회의 의결 절차 없이 백몇십억원의 돈을 펀드에 투자했다.

이들이 공히 신주처럼 받들고 있는 믿음에는, 설교할 때 하느님의 말씀이 자기 몸을 뚫고 들어와 대신 말하는 것이라는 주장이 들어 있다. 즉 자신은 신의 대언자다. 그들이 보기엔 이런 게 ‘교회적 영성’이다.

앞서 말한 토론회의 발제자인 박명림 교수는 우리 사회의 불평등 격차가 세계 최악의 상황임을 수십가지 지표를 조사해 밝혔다. 국가복지는 후퇴하고 있고, 기업복지는 형해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회적 도움이 필요한 이들은 점점 크게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교회적 영성’은 뇌물, 사기, 편법 건축, 부당한 펀드 투자 등으로 수십~수백억, 아니 수천억원을 남용한다.

이참에 ‘영성’이라는 것에 대해 다시 한번 살펴보자. 교회가 말하는 영성이 자기중심의 배타적인 교리 도그마에 빠져 있는데다 대형 교회들이 보이는 부적절한 행태들로 인해 많은 이들에게 영성이라는 말은 혼란스러운 것이 되었다. 게다가 교회적 영성이 아니라 사회적 영성에 대해 말하는 신학자가 별로 보이지 않는 탓도 있다. 정치학자 박명림도 이 말을 쓰기는 했지만, 그 말에 대한 일종의 저작권 같은 것을 가진 것처럼 공인되었던 신학자와 목사들의 침묵 탓에, 더 많은 설명을 하는 데 난감해했다.

신약성서에서 ‘영’은 언어로 통제되지 않는 감정체험과 관련해 처음 사용되었다. 한 공동체에서 종교체험이 인플레를 일으키며 종교적 감정 현상이 분출하였는데, 가령 방언 같은 것이 그것이다. 박 교수의 말처럼 신적인 것 혹은 진리가 몸을 뚫고 들어왔다. 영은 그러한 체험 중 감정적 체험에 국한한 표현이었다. 이해나 해석, 혹은 도덕의 차원이 아니라 감정의 차원이다.

한데 이 분출한 감정작용이 공공성을 띠지 못하고 서로 헐뜯고 권력 게임에 몰두한다. 이에 바울이라는 지도자가 ‘영’이라는 말로, 그 종교적 체험들에 공공성을 부여하려 한다. 그가 말하고 싶은 영의 핵심은 ‘사랑’이다. 곧 타인을 배려하는 것이다. 종교적 체험이 타인을 배려하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으면 그것은 영성이 아니다.

우리네 교회 지도자들이 보인 교회적 영성은 퇴색했다. 해서 정치학자 박명림의 말이 끌린다. ‘사회적 영성’이라고 다시 말해보자. 그가 이 말에서 생각했던 것 속에는 공공성, 곧 타인과 함께 수평적으로 나누는 관계의 품성이 필요하다. 물론 거기에는 지적·도덕적 성찰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동시에 욕망의 분별없는 분출에 관한 공공성, 곧 영적 성찰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것이 박명림이 내게 준 영에 관한 생각의 실마리였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 군·경호처도 검사처럼 무한 복종할 줄 알았나 1.

윤석열, 군·경호처도 검사처럼 무한 복종할 줄 알았나

문제는 윤석열이 아니다 [김누리 칼럼] 2.

문제는 윤석열이 아니다 [김누리 칼럼]

극우 테러는 어디서 왔을까? [세상읽기] 3.

극우 테러는 어디서 왔을까? [세상읽기]

[사설] 경호처 김성훈·이광우, 언제까지 활보하게 둘 건가 4.

[사설] 경호처 김성훈·이광우, 언제까지 활보하게 둘 건가

법집행 전면 부정한 ‘폭동’ 배후도 철저히 수사해야 [왜냐면] 5.

법집행 전면 부정한 ‘폭동’ 배후도 철저히 수사해야 [왜냐면]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