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영 집필노동자
성인이 된 이후 사람을 부르는 호칭 때문에 고민해본 경험이 누구나 있을 것이다. ‘고민’이 되는 이유는 어떻게 부르느냐에 따라 관계의 색깔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다른 이를 부르는 방식이 참 다양하다. 게다가 이름은 너무 무거워서 함부로 부를 수조차 없다. 한국어의 복잡한 호칭과 지칭을 통해 우리 사회가 얼마나 위계질서가 철저한 서열 사회인지, 그리고 온갖 차별이 어떻게 문화나 전통으로 포장되었는지 알 수 있다. 남편의 동생인 시동생은 ‘서방님’이나 ‘도련님’이지만 아내의 동생을 부를 때는 ‘님’이 필요 없다. 세대, 성, 계층 간의 강고한 위계가 종종 예의로 포장된다. 예의라는 개념이 주로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대하는 방식에 집중되어 있기에 늘 위아래를 질서 있게 정리해야 관계가 평화로워진다. 그 ‘질서’ 속에서 숨이 막힌다. 한국 사회의 인간관계는 이렇게 가파른 수직을 형성하고 있다.
주말에 동료들과 식사를 하는데 한 ‘박사님’이 “한국에서는 자꾸 나보고 ‘○ 박사님’이라고 불러서 너무 불편해요”라고 한다. 한국 사회에서는 직책과 직업으로 그 사람을 부르는 일이 흔하다. 물론 모든 직업에 해당되지는 않는다. ‘좋은’ 직업군에 속할수록 열심히 불려진다. 부모님이 사는 집 가까이에 ‘전 대학총장’이 이사를 왔는데 동네 사람들이 모두 그를 ‘총장님’이라 부른다. 반면 앞집 아주머니는 우리 집에 올 때 “반야야~”라고 (엄마를) 부르며 들어온다. ‘반야’는 우리 집 강아지 이름이다.
“이 양반들이 지금 비정규직이 아니에요”라는 새누리당 김태흠 의원의 변명을 들었다. 그가 말한 ‘이 양반들’이란 국회 청소노동자들을 일컫는다. 청소노동자들이 무기계약직이 되면 파업할까 봐 걱정하는 그는 그 ‘양반들’이 용역업체의 정규직이라고 우긴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개념이 뒤죽박죽인 그의 머릿속도 신기하지만 나는 또 ‘사소한’ 것이 거슬린다. 얼마 전에 야당의 한 정치인이 대통령을 ‘박근혜씨’라고 지칭한 후 새누리당이 냈던 논평이 생각났다. ‘씨’라는 지칭을 두고 막말이라 했고, 국가원수에 대한 모독이라며 분노했고, 석고대죄를 요구했으며, 공당의 대표에게 필요한 격이 없다는 혹독한 비난을 퍼부었다.
그렇게 ‘격’을 따지는 분들인 줄 몰랐다. 왕조시대 언어인 ‘석고대죄’가 국민이 주권을 가진 민주주의 시대에 등장했다. 3인칭에서 ‘씨’가 막말이면 ‘이 양반들’은 격이 있는 표현인가. 대통령은 이름 뒤에 ‘씨’라고 불러도 모독이 될 정도로 지엄하신 분이고 청소노동자들은 방송에서 ‘이 양반들’이라 불러도 아무 문제가 되지 않는 만만한 계층이라는 질서정연한 사고가 드러난다. 민주공화국에서 대통령을 비롯한 정치인은 청소노동자보다 ‘높은’ 사람이 아니다. 사회의 다른 영역에서 다른 일을 할 뿐이다.
‘박근혜씨’에 분개하는 집권당의 모습과 청소노동자들을 ‘이 양반들’이라 서슴없이 부르는 국회의원의 태도는 ‘권력에 대한 예우’만 따지고 ‘인간에 대한 예의’는 무시하는 이 사회의 이중성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침묵시위 중인 청소노동자 앞에서 거만하게 허리를 꼿꼿이 펴고 내려다보는 사진 속의 국회의원 ‘양반’은 인간에 대한 예의가 있는가.
흔히 사용하는 ‘사회지도층’이라는 말을 듣고 볼 때마다 늘 의문이다. 지도층은 누구일까. 돈과 권력을 가지면 지도층인가. 부유층과 권력층이 은근슬쩍 지도층으로 불리며 깍듯한 예우를 받을 때 다수의 노동자 서민은 헌법에 보장된 노동 3권과 같은 기본적인 권리조차 위협받는다. 무기계약직 되면 노동 3권 보장된다고 김태흠 의원이 염려하던 국회 청소노동자들은 올해도 어김없이 해고 통보를 받았다.
이라영 집필노동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