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12월26일 재미동포 임창영씨가 평양 공항에 내렸다. 황해도 은율 출신의 독립운동가로 4·19혁명 뒤 유엔 주재 한국대사를 지내다 5·16 쿠데타가 나자 미국에서 반독재투쟁을 벌인 인물이다. 그는 김일성 주석을 4시간 동안 만나 전두환 정권의 남북 정상회담 제안을 전달했다. 김 주석은 회담 수락 뒤 그다음 주 신년사에 남북대화를 지지한다는 내용을 포함시켰다.(돈 오버도퍼, <두 개의 한국>)
이후 남북 특사단이 비밀리에 평양과 서울을 오가는 우호적인 분위기 속에서 85년 8월9일 박철언-한시해의 비밀 접촉을 통해 우선 남북 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하기로 전격 합의했다.(박철언, <바른 역사를 위한 증언>) 이어 9월20일부터 23일까지 분단 40년 만에 처음으로 남북이 고향방문단 50명과 예술공연단 50명씩 동시에 평양과 서울을 교차 방문함으로써 상봉의 물꼬를 텄다.
그러나 91년 11월까지 모두 42차례나 이어진 박-한 라인의 접촉에도 불구하고 남북의 동상이몽 속에 결국 정상회담은 불발됐고 이산가족 상봉 역시 더는 이어지지 못했다. 그 뒤 2000년 6월15일 남북 정상회담에서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5개항의 남북공동선언에 이산가족 방문단 교환을 포함시킴으로써 그해 8월15일 15년 만에 다시 상봉이 재개됐다. 노무현 정부 때인 2007년 10월22일까지 모두 16차례 만남이 성사됐으나 2010년 10월 이후 남북관계 악화로 다시 중단되고 말았다.
60만~70만명으로 추정되는 이산가족 가운데 지난해 말 현재 12만9264명이 상봉을 신청했으나 생존자는 7만1480명에 불과하다. 이분들도 90살 이상 7950명, 80살 이상 2만9819명 등 고령자가 52.8%에 이른다. 3년여 만에 다시 추진되는 이산가족 상봉 여부에 신청자들은 피가 마를 지경일 것이다. 남북은 정치적 고려를 떠나, 철저히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상봉을 성사시킬 공동책임이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김이택 논설위원 ri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