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유레카] 식품과 생활의 안전 / 정남구

등록 2017-08-16 17:50수정 2017-08-16 19:21

수출용 미국산 자몽류 과일엔 항곰팡이제와 살충제를 많이 뿌린다. 오르토페닐페놀(OPP) 같은 항곰팡이제는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라 일본에선 한때 사용을 금했다. 1974년 미국산 자몽에서 오피피가 발견되자, 일본 후생성은 폐기하도록 조처했다. 이에 미국이 거세게 반발해 이른바 ‘미-일 레몬전쟁’이 벌어졌다. 결국엔 일본이 손을 들고, 기준치를 적용하는 식품첨가물로 승인했다.

1990년엔 일본이 수입한 미국산 레몬에서 베트남전쟁 때 쓴 고엽제의 주성분 가운데 하나인 2, 4-D가 검출됐다. 미국산 레몬이 시장에서 모두 사라졌다. 문제를 제기한 것은 ‘식품과 생활의 안전기금’이란 일본의 비영리법인이다.

안전기금은 1997년엔 유전자 조작 감자의 이파리를 먹고 벌레가 죽어가는 모습을 담은 영상을 발표했다. 친환경 주택의 바이블이라는 ‘건강한 주거를 손에 넣는 책’도 냈다. 앞서 1995년엔 방충제 파라디클로로벤젠을 생활 속 최악의 위험물질로 꼽고, 이를 대체할 방충망을 개발해 보급했다.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핵발전소 사고 영향 조사에선 소량의 방사능 체내 피폭으로도 건강 피해가 있음을 발견해 2012년 보고했다. 조사는 지금도 계속하고 있다. 안전기금은 시민이 돈을 모아, 식품이나 일상생활 속에 숨겨져 있는 화학물질의 안전성을 직접 검사하고 조사해 알리자는 취지로 1984년 설립한 시민단체 ‘일본 자손기금’이 모태다. 월간지 <식품과 생활의 안전>을 1984년부터 발행하는데, 광고를 싣지 않는다. 뭐가 좋고 나쁜지 기업 이름이나 상품 이름을 다 공개한다.

우리나라에도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있다. 5월14일을 식품안전의 날로 지정하는 등 식품안전 확보를 위한 국가 차원의 노력은 진척돼왔다. 그러나 시민 감시는 아직 미약하다. ‘살충제 달걀’ 사태를 보며 폭넓은 시민 감시의 필요성을 절감한다.

정남구 논설위원 je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1.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2.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3.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4.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5.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