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유레카] 칸트 번역 논쟁 / 고명섭

등록 2018-07-11 17:31수정 2018-07-11 18:52

독일 철학자 이마누엘 칸트.
독일 철학자 이마누엘 칸트.

근대 철학을 대표하는 단 한 명의 철학자를 꼽으라면 대다수 철학 연구자들은 이마누엘 칸트(1724~1804)를 들 것이다. 칸트가 철학사에서 이룬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은 그만큼 혁명적이었고 근대 세계에 끼친 영향도 막강했다. 하지만 칸트는 지금까지 한 번도 한국어로 전모를 드러낸 적이 없다. 칸트 철학이 수입된 지 100년이 넘었지만 아직도 온전한 ‘칸트 전집’이 나오지 않은 것은 우리 사회의 철학적 빈곤과 무관심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다. 일찍이 함석헌이 <뜻으로 본 한국역사>에서 한국인을 ‘철학 없는 국민’이라고 매몰차게 평가하면서 내린 다음과 같은 진단도 이유가 없지 않다. “한국 사람은 심각성이 부족하다. 파고들지 못한다는 말이다. 깊은 사색이 없다. 현상 뒤에 실재를 붙잡으려고, 무상 밑에 영원을 찾으려고 들이파는 얼이 모자란다.” 함석헌의 이 진단에서 지금의 우리는 얼마나 멀리 벗어나 있을까.

이런 사정을 생각하면, 칸트 전집 번역을 놓고 우리 철학 연구자들이 벌인 최근 논쟁은 너무 늦게 시작된, 그러나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이다. <한겨레> 지면과 온라인에서 10여차례 계속된 논쟁은 칸트도 놀랄 만큼 격렬했다. 쟁점은 칸트 용어, 특히 ‘트란스첸덴탈’이라는 핵심어를 ‘선험적’으로 번역할 것이냐, ‘초월적’으로 번역할 것이냐에 있었지만, 논쟁의 뿌리는 한국어와 칸트 철학을 어떻게 만나게 할 것이냐 하는 문제에 닿아 있다. 논쟁 참여자 김상봉의 발언은 이 논쟁의 승패를 떠나 깊이 새겨둘 만하다. “시인과 철학자는 모국어를 지키고 가꾸는 정원사들이다. 언어를 가능한 한 아름답게, 가능한 한 정확하게, 가능한 한 풍부하게, 그리고 가능한 한 깊이 있게 가꾸고 다듬는 것이야말로 철학자와 시인의 으뜸가는 사명이다.” 칸트 번역은 한국어를 넓히고 높이는 과정이자 한국어에 깃든 철학의 씨앗을 싹틔워 키우는 과정이어야 한다.

고명섭 논설위원 michae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1.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2.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3.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4.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5.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