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유레카] 인포워즈 / 김미나

등록 2018-08-22 15:53수정 2018-08-22 19:09

<인포워즈> 누리집 갈무리
<인포워즈> 누리집 갈무리

<인포워즈>를 키운 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다. 영화 제작자이던 앨릭스 존스는 1999년 자신의 이름을 건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작해 음모론을 퍼뜨리기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공화당 대선 후보로 지명되기 3개월 전인 2015년 12월 존스와의 인터뷰에서 “당신의 명성이 엄청나다”고 치켜세웠다. 버락 오바마 당시 대통령의 케냐 출생 의혹도 <인포워즈> 주장을 인용했다. 백인 극우주의자들 사이에서 겨우 명맥을 유지하던 <인포워즈>는 트럼프 정부가 들어선 뒤 일약 주류 언론이 됐다. ‘믿거나 말거나’ 한 이야기는 소셜미디어에서 활발히 유통됐고, 트럼프 대통령의 ‘입’을 통해 뉴스거리가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임기 초반부터 지속해서 <뉴욕 타임스> <시엔엔>(CNN) <엔비시>(NBC) 등을 언급하며 “페이크(가짜) 뉴스”, “국민의 적”이라고 날을 세우고 있다. ‘페이크 뉴스’란 단어는 트럼프 대통령 트위터에 임기 580일 동안 287차례나 등장했다. 존스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미디어는 적’이라고 했던 건 나”라며 자신이 이 ‘유행’을 선도했다고 자화자찬했다.

<보스턴 글로브> 등 미국 350여개 언론사는 16일 일제히 ‘저널리즘은 적이 아니다’란 제목의 사설을 게재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적대적 언론관을 더는 두고 볼 수 없다는 외침이었다. 트럼프는 트위터에 “페이크 뉴스 미디어는 야당”, “진실이 이길 것”이라고 큰소리쳤다.

최근 페이스북과 유튜브, 애플 등이 편파적 발언으로 혐오와 음모론을 확산시킨다며 <인포워즈> 콘텐츠 중 성소수자·이슬람교도 등에 관한 내용 일부를 삭제했다. 트위터는 존스 계정에 대해 일주일 사용정지 처분을 내리고 사태를 관망하고 있다. 한쪽에선 존스와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는 ‘패키지’라고 비아냥댄다. 둘 다 그냥 두든지, 둘 다 퇴출시키든지 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미나 국제뉴스팀 기자 mi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1.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2.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3.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4.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5.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