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정희진의 융합] 인간의 세계는 작다, 스트라이크 존

등록 2020-11-10 04:59수정 2021-05-11 08:20

정희진의 융합 _10
스무살 청년이 ‘정희진의 융합’을 먼저 읽고 그리다. 장태희
스무살 청년이 ‘정희진의 융합’을 먼저 읽고 그리다. 장태희

융합은 지식의 확장이 아니야

스트라이크 존은 앎과 삶의 범위를 상징

인생은 거창하지 않아

당면한 볼 카운트가 우리의 일상

지식은 ‘야구장’이 아니라 ‘스트라이크 존’에서 필요

운동 경기는 인생의 축소판. 흔한 비유이기도 하고 관련 종사자에게는 현실이다. 나는 야구, 정확히는 야구의 운영 원리를 좋아한다. 매력은 한이 없다. 야구는 공을 사용하지만 사람이 득점하는 경기다. 한 선수가 움직이면, 다른 선수의 몸도 연동한다. 아홉 명이 다른 동작으로 동시에 춤을 추는 듯하다. 그들은 한 몸이어서, 한 사람의 실책이나 ‘나이스 플레이’만으로 승부가 결정 나는 경우가 많다.

‘야구는 투수의 경기다’. 야구의 승패는 타력이 아니라 어느 팀이 먼저 상대 투수를 지치게 하는가에 달려있다. 그러므로 기복이 심한 강타자보다는 포볼로 출루율이 높은 선수가 능력자다. 주자의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출루 수단이 안타냐 포볼이냐는 덜 중요하다. 상대 투수의 투구 수가 관건이다. 아웃을 당하더라도, 투수가 공을 많이 던지게 해야 한다. 인권 차원에서는 안타까운 일이지만, 투수의 몸을 망가뜨릴수록 이길 확률이 크다는 의미에서 야구는 ‘수동적 공격성(passive-aggressive)’의 경기다. 당연히 타자에게 가장 중요한 자질은 선구안(選球眼)이다.

선구안은 스트라이크 존(zone)에서 작동, 결정된다. 타자의 자세, 좌타자냐 우타자냐, 한국·미국의 리그 등에 따라 이 공간의 크기는 다르다. 470~598in²(제곱 인치, square inch)까지 다양하다. 그러나 어차피, 오각형 홈플레이트 크기는 투수, 좌우 타석, 포수 쪽으로 각각 43.2, 21.6, 30.5㎝이므로, 이 크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매우 좁은 공간이다. 아동용 의자 방석만 하다. 타자는 투수가 던진 공의 속도를 가늠하면서 그곳에서 승부를 벌어야 한다. 한 경기에서 선구안에 따른 타자의 판단이 몇 번이나 일어날까. 경기마다 다르고, 수없이 많을 것이다.

선구안은 지식 전반, 국가 경영, 사회의 성숙, 개인의 인생 등 모든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좋은 비유이다. 다른 말로 하면 “판단력, 안목, 착목 지점, 문제의식, 질문”이다. 공동체의 운명은 지도자와 구성원들의 선구안에 달려있다. 타석의 선수가 매번 공을 판단하듯, 스트라이크 존은 앎과 삶의 범위를 상징한다. 인생은 거창하지 않다. 일상이다. 지식은 일상의 매 순간 필요한 수많은 양식(樣式·糧食) 중 하나일 뿐이다. ‘학자’도 다르지 않다.

_______
융합은 확장이 아니다

지난번 글이 나간 후 “왜 가짜 뉴스를 페이크 뉴스라고 하느냐, 되도록 우리말을 쓰자”는 요지의 독자 메일을 받았다. 그 독자의 뜻은 감사하지만, 나는 부분적으로 동의한다. 가짜와 페이크의 뜻은 다르기 때문이다. 가짜 뉴스의 반대는 진짜 뉴스가 아니다. ‘페이크’는 가짜 외에 조작, 허위, 속임수 등 다양한 의미가 있으므로 페이크 뉴스가 맞다. 어느 지역의 언어나 마찬가지지만, 최대한 정확한 표현을 위해서는 각각의 ‘우리 말’만으로는 부족하다. 한국어의 경우 영어 단어와 한자 사용은 언제나 골칫거리다.

영어 표현을 한자로 쓸 수밖에 없는데, 그 뜻이 더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단어가 있다. 바로 이 연재물의 표제인 융합(融合)이다. 융합의 가장 근접한 의미는 통섭(通攝)인데 통섭(統攝)과 발음이 겹친다(두 ‘통섭’은 반대말에 가깝다). 불가피하게 ‘융합’으로 쓰기는 하지만 이 단어의 어감은 통섭(通攝)과 거리가 멀다.

“제너럴한 스페셜리스트를 양성한다”, “융합자율전공학부 최대 지원…” 며칠 전 신문에서 본 모 대학의 신입생 모집 광고 문구다. 이 말은 특정 분야의 전문가이면서도 많은 것을 알아야 한다는 뜻인데, 듣기만 해도 부담스럽다. 어불성설에, 가능하지도 않다. 융합은 모든 지식을 습득한 다음, ‘녹여서 합하는 것’이 아니다.

애초 융합은 크게 두 가지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첫째는 학과별로 전문화가 심화되면서 대두한 전인적 교육의 필요성, 둘째는 서구 남성 중심 지식으로는 해결, 해석할 수 없는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가시화하는 새로운 사유 방법론으로서 등장했다. 즉 다른 생각과의 접촉, 그 닿음에서 발생하는 불협화음과 충돌이 융합의 주요 요소다.

그러나 위에 적은 첫 번째 이유, 학문 간 대화부터 쉽지 않다. 도정일과 최재천의 <대담 - 인문학과 자연과학이 만나다>(2015)는 의도한 것은 아니겠지만, 만남이 얼마나 어려운가를 증명하는 책이 되고 말았다. 논의의 범주가 넓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임지현과 사카이 나오키의 대화 <오만과 편견>(2003)은 임지현의 통찰 덕분에 ‘실패’ 이유가 책에 나온다. 타인과의 대화에서 최선은, “동의하지는 않지만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정도이다. 이해도 쉽지 않다. ‘머리’가 아니라 존중과 열린 마음, 지적 호기심, 인격이 갖추어져야 가능하다.

융합은 타학문과의 대화를 통해 지식을 확장하거나 공통점을 찾는 작업이 아니다. 지식이 왜 필요한가라는 질문, 지식의 쓸모와 가치에 관한 논쟁이다. 봉건 시대를 넘어 신, 신분 질서, 자연을 ‘물리치고’ 인간이 앎의 주체가 되면서 지식(인)은 다다익선으로 간주되었다. 지식 자체가 숭배되기 시작했다. ‘서양철학사’를 필두로 근대 학문을 ‘섭렵한’ 이들이, 계몽(啓蒙, en-light-enment)이란 말처럼 사람들에게 ‘빛’을 제공했다. 한국 현대사에서는 양주동이나 이어령 같은 이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문명으로 인한 환경파괴와 전쟁은, 지식을 양에서 가치관의 문제로 이동시켰다. ‘지식은 무조건 선인가?’라는 성찰과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영화, 소설 모두 베스트셀러였던 <양들의 침묵>은 지식의 윤리를 살펴보기에 적절한 텍스트이다. 연쇄 살인마 렉터 박사는 프로이트의 심리치료(talking cure) 방식으로 옆방 수감자를 자살케 할 정도의 ‘천재’다. 지식인 범죄자는 ‘매력적이다’. 이런 범죄에서 피해자는 소모품으로 다루어지고, 범죄는 선악의 문제가 아니라 머리 좋은 이들의 게임이 된다.

_______
인생은 스트라이크 존의 크기

융합의 반대말 중 하나는 거대 담론(grand theory)이다. 거대 담론적 자아는,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스트라이크 존에 들어선 타자가 알아야 할 것은 ‘세계프로야구사’가 아니라 상대 투수의 투구 패턴, 표정, 그가 직전에 던진 공이다. 이 같은 작은 단위들의 연속이 인생이다. 비슷한 말로 “신은 디테일에 있다”, “오늘을 산다”, “상황”, “맥락” 등이 있다.

창의적 사고를 위해서는 앎의 규모에 대한 인식부터 바꿔야 한다. ‘플라톤, 공자’부터 공부할 필요가 없다. ‘지금 여기’에서 내게 필요한 공부를 하다 보면, ‘고전’과 만나기도 하고 충돌하기도 한다. 그러려면 필요한 공부가 무엇인지부터 깨달아야 하고, 또, 깨달아진다. 그 전제는 자신의 현재 포지션(사회적 위치)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흔히 사용하는 ‘이론과 실천의 분리’라는 말은, 지식의 소용에 관한 질문이다. 이론과 실천은 본디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알던 지식이 쓸모가 없을 때, 이런 말이 나올 뿐이다. 현실에 맞는 이론이 없는 것이다. 소용할 이론을 만들면 된다. 인간은 생각하는 동물이라고 하지만, 사유는 고통스럽고 외로운 노동이다. 그래서 대개는 자신이 아는 범위 안에서 현실을 가위로 잘라-재단(裁斷)- 없는 상태로 만든다. 사회적 약자의 드러나지 않은 고통은 권력화된 무지의 대표적 효과다.

지식은 내가 처한 현실에서-기존의 단어로 말하면 미시에서 거시로, 아래에서 위로- 만들어지는 새로운 몸이다. 융합은 새로운 몸, 변태(變態, metamorphosis)의 과정이다. 애벌레가 나비가 되는 연속선에서 몸(생각)이 변하고, 다른 지식이 생산된다. 변태는 알아가는 몸, 그 변화를 총체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마르크스주의를 공부한다고 해서 비정규직, 고실업을 해결할 수 없고 페미니즘을 공부한다고 해서 “난민을 반대하고 박근혜씨를 지지하는 페미니스트”를 설득하기 어렵다. 단지, 당면한 볼 카운트가 우리의 현실이다. 지식은 ‘야구장’이 아니라 ‘스트라이크 존’에서 요구되는 것이다. 스트라이크 존이라는 타자의 포지션에서 앎이 시작된다. 야구에서 많이 쓰는 단어가 포지션이다. 왜일까. 다음 회는 융합과 포지션에 대한 이야기이다.

정희진

여성학 연구자·문학박사. 글쓰기와 책읽기를 좋아한다. ‘논문, 비평, 수필, 편지, 칼럼’ 등 글의 장르는 없다고 생각한다. 여성학 연구자로서 공부의 목적은, 기존의 논쟁 구도와 전선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여성주의와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한국 현대사를 재해석하는 데 관심이 있다.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는다. tobrazil@naver.com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1.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2.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3.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4.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5.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