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유레카] 마녀 감별법과 ‘집게손’의 착시 / 안영춘

등록 2021-05-30 16:25수정 2021-05-31 02:08

다음 중 중세부터 근세까지 사용된 유럽의 마녀 감별법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1)손발을 묶어 물에 던진다, (2)바늘로 온몸 구석구석을 찌른다, (3)불로 달군 쇠판 위를 걷게 한다, (4)성경을 소리 내 읽게 한다. 정답은 ‘없다’이다. 넷 다 마녀 감별사들이 ‘애용’한 방법이다. 왜 아니었겠나. 용의자로 지목만 하면 아무도 빠져나갈 수 없게 설계된 만능 덫이거늘.

마녀 용의자는 물에 가라앉으면 그대로 죽고, 혹 부력으로 떠오르면 마녀로 감별돼 처형됐다. 바늘에 찔리다 고통에 못 이겨 마녀라고 실토해도, 어쩌다 감각이 없는 곳을 찔려 가만있어도 또한 마녀이기에 죽음을 비켜 갈 수 없었다. 쇠판 위에서 죽지 않고 요행히 살아 내려오면 불에도 죽지 않는 마녀가 틀림없으므로 화형됐다. 불로 달군 쇠판 위에서 죽지 않는데 화형을 시키는 모순쯤은 대수롭게 여겨지지 않았다. 문맹률이 95%이던 시대에 성경을 소리 내 읽게 했다는 건 곧 백성의 95%를 잠재적 마녀로 간주했다는 얘기다.

지금 보면 어처구니없지만, 1487년 독일 쾰른대 학장 야코프 슈프렝거와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대 신학교수 하인리히 크라머가 출간한 <마녀의 망치>를 비롯해 유수의 식자층으로부터 학술적인 뒷받침까지 받았다. <마녀의 망치>는 182년 동안 36차례나 개정판이 나올 만큼 대단한 스테디셀러의 위상을 누리며 유럽 전역으로 퍼져 나갔다. 인본주의가 꽃을 피운 르네상스 시대(14~16세기)에 마녀사냥이 극성한 사실도 이 희생제의가 합리적 이성과 전적인 대립관계가 아니었음을 암시한다.

18세기 중반까지 처형된 마녀 수가 50만명에 이르는데, 이 가운데는 남성들도 여럿 있었다. 마녀는 여성으로 간주됐지만, 생물학적인 성 범주를 넘어 사회구성적인 성 범주이기도 했던 셈이다. 마녀사냥의 배경에 대중의 불신과 불만을 약자에게 투사시키려는 기득권 세력의 전략이 있었음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남성 비하의 상징이라는 ‘집게손’에 대한 시비가 국방부의 ‘거수경례’ 홍보물로까지 비화했다. 처형은 거침없다. 손 모양을 형상한 어떤 이미지물도 더는 사냥에서 자유롭지 못할 기세다. 지식 총량이 압도적인 21세기에 ‘무지몽매’만 탓할 일인가. 착시를 일으키는 만능 덫의 배경을 드러내는 게 급선무다.

안영춘 논설위원 jo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1.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2.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3.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4.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5.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