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이정미 신임 대표가 28일 국회에서 열린 제7기 당대표 선출 보고대회에서 당선이 확정된 뒤 신임 부대표 등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이현정 부대표, 이정미 대표, 김창인 청년정의당 대표, 이기중 부대표. 연합뉴스
정의당의 ‘재창당’을 이끌 새 당대표로 이정미 전 의원이 28일 선출됐다. 이 대표는 23~28일 치러진 결선투표에서 63.05%를 얻어 36.95%를 득표한 김윤기 후보를 누르고 당선됐다. 이 대표는 이미 당대표를 하며 2018년 지방선거를 지휘한 경력이 있다. 당시 정의당의 광역 정당 지지율(8.97%)은 2014년보다 두배 넘게 올랐다. 최근 잇단 선거 패배로 존립 위기에 처한 정의당이 이 대표를 선택한 데는 이런 경험에 대한 기대가 깔려 있을 것이다. 반면 지난 정의당 역사에서 중심인물 중 하나였던 그가 기존 틀을 깨고 당을 과감하게 변화시킬 수 있을지 의문을 품는 시각도 있다. 이 대표가 특유의 안정감을 발휘하면서도 담대하게 정의당과 진보정치의 활로를 찾기 바란다.
이 대표의 최우선 과제는 당의 전면 혁신이다. 정의당은 지난 9월17일 정기 당대회에서 대의원 만장일치로 당명 변경과 강령·당헌·당규 개정 등 재창당 작업을 내년까지 마무리하기로 결의했다. 당시 정의당은 “정의당의 지난 10년은 결과적으로 실패했다”며, 새 지도부가 당의 노선과 가치 재정립을 포함해 재창당에 나서도록 못박았다. 이 대표는 이제 정의당을 문 닫고 새 당을 세운다는 각오로 당과 진보 진영의 역량을 결집해 당을 환골탈태시켜야 한다.
재창당 결의안은 ‘노동에 기반한 사회연대정당’을 지향점으로 제시하고, “일차적 지지기반인 노동을 바탕으로 농민, 상인, 청년, 여성 등 각계각층으로 확대돼야 한다”고 밝혔다. 전통적인 진보정당의 토대를 강화하라는 주문이다. 이를 충실히 이행하는 동시에 비정규직 같은 새로운 노동 문제에 대한 해법 또한 찾아 내놓아야 한다. 기후위기와 젠더, 이주·난민 등 시대적 과제에 대한 대응 또한 흐트러져선 안 된다. 양극화와 성차별 등 인간의 존엄을 위협하는 모든 불평등과 맞서는 것은 현대적 진보정당의 피할 수 없는 과제이며 의무임을 명심해야 한다. 당 밖으로는 현 정권의 퇴행을 적극 견제하면서, ‘2중대’ 논란을 불렀던 민주당과의 연합정치 방법론도 가다듬어야 한다.
심각한 내부 갈등을 풀고 당의 역량을 하나로 모으는 것도 당면 과제다. 또 이를 통해 당을 성공적으로 혁신하고 미약해진 진보정당의 존재감을 내후년 총선에서 되살리는 것까지가 이 대표에게 주어진 책무가 될 것이다. 이 대표는 수락 연설에서 “정의당의 시선과 실천이 사회적 약자의 곁에 분명히 서고, 철저히 준비하면 기회는 반드시 온다”고 말했다. 이 대표와 정의당의 건투를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