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팽목항은 여전히 절망과 한탄의 바다다. 세월호 참사 실종자 수는 보름 동안 16명에서 꼼짝도 하지 않다가 5일에야 15명으로 줄었다. 그나마 침몰 지점에서 40㎞나 떨어진 곳에서 주검이 발견됐다. 그렇게 유실된 실종자는 또 얼마나 더 될까. 최후의 실종자까지 돌아와야 비로소 이 참극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그때까지 세월호는 여전히 침몰중이다.
세월호와 함께 침몰한 것은 국가에 대한 믿음이었다. 수백명의 승객이 눈앞에서 바닷속으로 가라앉는데도 속수무책이었던 정부를 목격하면서 모두 ‘대체 이게 나라인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을 토해냈다. 그 충격 속에서 참사의 책임을 물은 것이 이번 지방선거였다지만, 정작 선거기간 동안 세월호는 선거의 공방과 다툼에 가려버렸다. 선거가 끝난 이제, 선거를 한판의 해원굿 삼아 세월호를 잊어서는 더더욱 안 된다. 세월호 참사로 유족과 온 국민이 입은 아픔과 상처는 쉽게 잊을 수 있는 것도 아니거니와, 그렇게 잊어서도 안 된다. 세월호 참사의 원인과 과정을 하나하나 따져 다시는 참극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 출발은 국회의 국정조사일 것이다. 세월호 침몰사고 진상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 특위는 가동 첫날인 2일부터 여야가 엇박자를 내더니 지방선거가 끝나자 이제 겨우 함께 움직이기 시작했다. 열흘로 예정된 사전 조사 기간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지금부터라도 조사와 준비에 만전을 기해 진상규명에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한다.
특위가 할 일은 분명하다. 실종자 가족들과 유가족들이 이날 간담회에서 호소하고 요청한 바 그대로다. 무엇보다 특위는 왜 이런 참사가 벌어졌는지 성역 없이 낱낱이 밝혀야 한다. 정치적 이해득실을 앞세우거나 정쟁 따위 핑계를 내세워 진상규명을 게을리하다가는 외면받는 정치가 더욱 큰 불신을 받게 될 것이다. 피해자 지원대책 마련은 물론, 진상규명의 결과를 담아 국가재난체계를 혁신하고 시스템을 구축하는 일도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다. 세월호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이슈세월호 참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